상원 법안 가결 전망, 부시는 거부권 행사 다짐
미국 상원이 17일 논란의 대상이 돼온 인간배아 줄기세포 연구 지원법안에 대한 토의에 들어간 가운데 백악관측은 이 법안에 대한 거부권 행사 방침을 거듭 밝혀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미 상원은 이날 인간배아 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연방 정부의 자금 지원을 허용하는 내용의 법안의 토의에 착수했으며, 18일 이를 정식 표결에 부칠 방침이다. 특히 줄기세포 연구 허용법안에 찬성하는 상원의원은 총 100명 중 가결 정족수인 60명을 넘는 것으로 파악돼 이 법안이 하원에 이어 상원도 통과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관측된다. 미 하원은 이미 1년전 인간배아 줄기세포 연구 지원법안을 238대 194로 통과시켰으나, 조지 부시 대통령이 이 같은 법안에 대한 거부권 행사를 다짐하고 있는데다 상당수 상원의원들이 반대의견을 고수해 법안처리가 미뤄져왔다. 그러나 빌 프리스트 공화당 원내대표를 비롯한 상당수 상원의원들이 인간배아 줄기세포 연구 반대의견을 바꿈에 따라 하원에 이어 상원에서도 인간배아 줄기세포 연구지원 법안이 가결돼 부시 대통령에게 넘겨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관측된다. 부시 대통령은 그러나 인간배아의 파괴를 초래하는 줄기세포 연구는 비윤리적이라며, 의회가 이 같은 법안을 처리할 경우 거부권을 행사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백악관측은 17일에도 성명을 통해 납세자들의 세금을 '인간생명 파괴를 지원하고 고무하는데' 쓰는걸 반대한다며 "법안이 대통령에게 제출된다면 이를 거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악관측이 이처럼 거부권 행사 방침을 거듭 밝힘에 따라 부시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거부권을 행사할 지 여부가 주목된다.미 의회가 대통령의 거부권에도 불구하고 법안을 다시 가결하려면 3분의 2의 찬성이 필요하지만 찬성의원이 3분의 2에 달하는지 여부는 확실하지 않은 상황이다. 부시 대통령은 2001년 8월 행정명령을 통해 인간배아의 파괴를 초래하는 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연방 자금의 지원을 금지시킨 바 있다. 한편 워싱턴 포스트지가 이날 사설을 통해 상원에 인간배아 줄기세포 연구 지원 허용법안의 조속한 통과를 촉구하고 부시 대통령은 거부권 행사 위협을 철회하라고 밝히는 등 인간배아 줄기세포 연구 허용을 둘러싼 미국 내 찬반 여론도 가열되고 있다. 이기창 특파원 lkc@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