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7.21 01:37 수정 : 2006.07.21 01:37

18개항 성명 발표…북 인권 부각

미국의 북한인권관련 단체들이 20일 워싱턴 내셔널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부시 행정부에 대해 '헬싱키 협약'을 모델로 한 새로운 대북 정책 수립을 촉구하는 18개항의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특히 전날 샘 브라운백 상원의원이 밝힌 동북아판 헬싱키협약 추진 구상을 적극 지지하면서 북한의 미사일과 핵 등 대량살상무기에만 초점을 맞출 경우 동북아와 세계 정세를 위협하는 김정일 체제의 근본적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브라운백 의원은 전날 "우리는 (북한의) 민주적인 개혁이라는 목표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 북한이 6자회담 복귀를 거부하고 도발적 행위를 계속할 경우 북한의 '체제변형'쪽으로 방향을 잡아야 한다는 뜻을 시사했다.

이들은 특히 북한 인권 문제를 배제한 군사대응이나 군축협상을 통한 대북문제 해결에 반대의사를 표명하는 한편 중국의 탈북자 강제북송 등 불법행위를 강하게 비판했다.

헬싱키협약이란 지난 1975년 미국과 옛 소련, 유럽 등 35개국이 핀란드 헬싱키에서 체결한 협약으로, 서방은 주권 존중, 전쟁 방지, 인권 보호를 핵심으로 하는 이 협약을 근거로 소련과 동유럽의 인권문제를 지속적으로 거론, 공산권의 붕괴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했다.

이날 회견에는 오픈소사이어티정책센터와 한미교회연합, 복음주의연합 등 북한인권관련단체 대표들과 보수강경파인 마이클 호로위츠 허드슨 연구소 선임연구원 등이 참석했다.

조복래 특파원 cbr@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