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시와 블레어의 ‘격의 없는 대화’
|
막말과 농담…숨겨진 성격 드러나 역사학자들은 좋아해
G8(선진7개국+러시아) 정상회담에서 나온 조지 부시 대통령의 이른바 '격의 없는 대화'를 계기로 역대 미국 대통령의 마이크 앞 실수의 역사를 뉴욕타임스가 23일(현지시간) 전했다. 부시 대통령의 '격의 없는 대화'는 러시아에서 열린 G8 정상회담에서 마이크가 켜진 것을 모르고 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와 나눈 사적인 대화로 부시 대통령의 점잖지 못한 발언으로 인해 한동안 논란이 됐다. 뉴욕타임스가 전한 미 대통령의 마이크 앞 실수 가운데 아마도 가장 유명한 일화는 로널드 레이전 대통령이 소련을 대상으로 한 농담일 것이다. 레이건 대통령은 주례 라디오 연설을 앞두고 마이크가 작동중인 것을 모르고 "지금 막 소련을 영원히 불법화하는 법률에 서명한 것을 알리게 돼 기쁩니다. 5분 뒤에 폭격을 시작할 것입니다"라고 농담해 물의를 일으켰다. 레이건 대통령의 당시 실수는 '악의 제국'이라고까지 부르던 소련에 대한 그의 생각은 물론 방송인 출신인 그의 유머감각을 새삼 확인시켜 준 일화로 지금도 회자되고 있다. 부시 대통령의 전임인 빌 클린턴도 대통령 선거운동 때부터 시작해 많은 마이크 앞 실수를 저지른 것으로 유명하다. 클린턴 대통령은 대선 후보 경선과정에서 앞에 놓은 카메라가 켜진 것도 모르고 재시 잭슨 목사가 경쟁자인 톰 하킨 상원의원을 지지했다는 뉴스보도에 대해 분노를 삭이지 못한 채 거친 목소리로 "더럽고 기만적이며 중상모략적"이라고 말한 것이 전파를 탔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녹음이 되는 줄도 모르고 무심히 내뱉은 말로 인해 그가 알려진 것보다 점잖지 않으며 정치적이지도 않다는 평가를 받은 경우.케네디 대통령은 정보기관에 대한 불만을 드러내면서 그들은 국방부 사람들과는 달리 "고환(비유적으로 용기라는 뜻을 가짐)도 없는 것 같은" 사람들이라고 실망감을 나타냈으며 국방부 관리들에 대해서도 "머리가 없는 사람"이라고 말했다가 낭패를 봤다. 뉴욕타임스는 대통령들이 워터게이트 사건 이후 사적인 대화조차 조심스러워하고 있어 숨김없는 인간적인 모습을 볼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어 졌지만 마이크 앞에서 벌어지는 실수를 통해 숨겨진 대통령의 모습을 알 수 있다면서 대통령들의 마이크 앞 실수를 역사학자들이 좋아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계환 특파원 kp@yna.co.kr (뉴욕=연합뉴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