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진 기자 smile@yna.co.kr (서울=연합뉴스)
|
타임 “군 지원은 미 시민권 획득 지름길” |
미국 시민권 획득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미군 지원이 일종의 지름길로 인식되고 있다고 시사주간지 타임이 31일 인터넷판에서 보도했다.
타임에 따르면 지난 9.11 테러 이후 미국 정부가 시민권 취득 희망자들의 군 지원을 받기 시작하면서 지금까지 3만5천명이 군복을 입었고 이들 중 2만6천명은 시민권 취득에 성공했다.
미국 정부는 같은 시점부터 현역 군인들에 대해서는 시민권 신청 수수료 330달러도 받지 않고 있으며 지난달 4일에는 176명이 해외에서 선서를 하고 미 시민권을 부여받기도 했다.
군 입대를 선택한 시민권 희망자들은 9.11 테러 발생 시점에 비해 4배로 늘어났으며 이들은 현재 전체 미군의 2%를 차지한다.
아프가니스탄이나 이라크에서 전사한 뒤 사후 귀화 증명서를 발급받은 사람은 75명, 2년 안에 가족이 대신 사후 귀화 증명서 발급을 신청할 수 있는 시민권 없는 전사자도 26명에 이른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아예 입대 희망자를 외국에서 뽑자는 제안이 나오기에 이르렀다.
예비역 육군 준장인 케빈 라이언 하버드대 케네디 행정대학원 교수는 지난주 크리스천사이언스모니터에 기고한 글에서 인도 델리에 사무소를 개설, 미국 시민권 희망자를 대상으로 입대 지원을 받으면 지난해 병력 부족분 7천명 정도는 쉽게 충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해 군 관계자들을 놀라게 만들었다.
미군 당국도 이런 제안이 싫지는 않다는 기색이다. 육군 인사정책 책임자인 숀 번 소장은 이런 제안에 대해 "추진해 볼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보였다.
김세진 기자 smile@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세진 기자 smile@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