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파키스탄 카라치의 신문 가판대에서 한 남자가 파키스탄 정보기관이 영국발 여객기 테러 음모를 적발하는 데 도움을 줬다는 제목의 기사를 보고 있다. 카라치/AP 연합
|
작년 7월 런던테러직후…영 정보국 극비 추적
용의자 19명 신원공개…언론 “평범한 청년들”
2005년 7월7일 52명이 숨진 런던 지하철·버스 연쇄 폭탄테러로 비상이 걸린 영국 경찰 당국에 며칠 뒤 걱정스런 제보전화가 한통 걸려왔다. 자신은 영국에 살고 있는 무슬림이며 아는 사람이 뭔가 수상한 일을 저지를 것 같다는 내용이었다.
‘아는 사람이 수상하다’는 제보전화가 단서=이 모호한 단서가 10일 세계를 발칵 뒤집어 놓은 ‘영국판 9·11’ 항공기 테러 음모를 추적하는 시발점이 됐다고 <워싱턴포스트>가 유럽 정보 당국자의 말을 따 11일 보도했다. 영국 경찰과 정보국은 영국발 미국행 항공기를 동시에 폭파하려 한 테러 계획의 용의자로 영국 태생의 무슬림 청년 24명을 10일 체포해 조사 중이다. 용의자들은 당시 48시간 안에 여객기 최대 10대를 폭파시키려는 계획을 실행하려는 상황이었다고 영국 <인디펜던트>는 전했다. 경찰은 용의자들에 대한 잠정 조사 결과를 토대로 11일 이 가운데 19명의 이름과 거주지 등을 공개했으며, 영국은행은 이들의 계좌를 동결했다. 이들은 17~35살로 런던과 버밍엄 등지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첫 제보를 받은 뒤 영국 국내정보국(MI5)과 런던 경찰청은 용의자들의 전화 통화와 인터넷 사용 기록, 행적을 밀착 감시했다. 추적은 1년 동안 계속됐다. 런던과 그 외곽인 하이와이콤, 버킹엄셔, 버밍엄 등 영국 전역에 이들의 조직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고, 일부가 파키스탄을 오가며 자금과 조직원을 모집하는 것을 추적했다.
경찰은 이들의 집을 수색하는 과정에서 유언처럼 남기려 했던 ‘순교’ 비디오 등을 찾아냈다고 <시엔엔>(CNN)이 전했다. 미국 국토안보부 관계자는 용의자가 최대 50명에 이를 수도 있다고 밝혔다.
|
액체폭발물이란?
|
95년 알카에다 관련 사건 닮아=액체 폭발물을 이용하려 한 이번 사건은 1995년 ‘보진카’ 사건과 비슷한 점이 많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 세르비아어로 ‘큰 폭발’이란 뜻의 ‘보진카’ 계획은 알카에다 간부인 할리드 셰이크 모하마드와 폭발물 전문가 람지 유세프가 미국과 서울, 홍콩행 등 여객기 12대를 태평양 상공에서 폭파시키려 했던 사건이다. 이들은 니트로글리세린을 넣은 병을 비행기에 놓고 내린 뒤 전자손목시계를 이용해 기폭장치를 폭파시키려 했지만, 그전에 머물던 필리핀 마닐라의 아파트에서 화재가 일어나 미리 발각됐다. 박민희 기자, 워싱턴/류재훈 특파원 minggu@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