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8.12 01:07 수정 : 2006.08.12 01:08

아름다운 경관과 함께 `자살 명소'라는 오명을 뒤집어 쓰고 있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금문교(Golden Gate Bridge)에 자살방지 방벽을 설치할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11일(현지시간) 금문교 관리당국이 최근 200만 달러의 연구비로 자살방지 방벽 설치 여부에 대한 다각적인 조사활동을 벌여온 연구진으로부터 조사 결과를 보고받았다면서 관리당국이 곧 결론을 내릴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금문교 관리당국 책임자인 셀리아 쿠퍼스미스는 "현재 우리가 검토하고 있는 방향은 이 문제를 단번에 해결하는 방안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그는 "만약 방벽을 짓기로 결정한다면 그렇게 할 것이고, 그렇지 않기로 한다면 이 문제가 다시 쟁점화될 때 이에 대해 설명할 만한 충분한 기술적, 공학적, 환경적 정보를 확보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방벽 설치 옹호론자들은 방벽 설치가 자살을 방지하는데 실질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지난 2000년 9월 금문교에서 뛰어내려 자살을 시도했다가 기적적으로 살아난 케빈 하인즈는 "만약 당시 다리에 방벽이 있었더라면 나의 자살시도를 막을 수 있었으리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정신질환을 앓던 중 다리에서 뛰어 내렸다가 관절과 척추를 크게 다친 하인즈는 이후 방벽 설치 운동을 벌이고 있다.

이에 따라 금문교 관리당국도 지난 수년간 방벽 디자인을 하고 설치 비용을 추정하는 등 6번 이상 방벽 설치를 추진해 왔지만 매번 좌절됐다.


방벽이 다리의 미관을 해칠 뿐아니라 자살 시도자들이 금문교 인근 다른 다리에서 자살 시도 장소를 찾는 등 별다른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반대론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반대론자들은 특히 샌프란시스코만 일대 자살 시도자 가운데 3%만이 다리에서 뛰어내린다고 반박하고 있다.

비용 문제도 무시할 수 없다. 앞으로 5년간 7천만 달러의 적자가 예상되는 가운데 1천500만∼2천5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는 방벽 설치 비용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

여기에 새로운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 가뜩이나 거센 이 지역의 바람을 다리가 과연 견뎌낼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공기역학적 판단도 내려야 한다.

뉴욕타임스는 금문교에 자살방지 방벽을 설치할 것인지 여부를 놓고 자유 의지와 간섭주의, 다리 미관, 공기역학 등 모든 문제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1937년 5월 27일 금문교가 개통된 이후 1천200명 이상이 4피트(약 120cm) 높이의 난간을 넘어 자살을 시도했으며 이 가운데 살아남은 사람은 20명이 조금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래운 특파원 lrw@yna.co.kr (뉴욕=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