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8.24 19:17 수정 : 2006.08.24 19:17

미, 유일하게 남은 북 금융창구 러시아에 경고
대화론 실종…‘핵실험 준비’ 언론 누출 의혹도

“요즘 미국에선 북한과 대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거의 들리지 않는다. 반면 방코 델타 아시아(BDA)로 시작한 북한의 불법행위 단속 문제는 전반적인 대북 금융제재로 확산되는 느낌이다.” 최근 미국의 행보를 두고 정부 관계자가 24일 한 말이다.

스튜어트 레비 미국 재무부 금융범죄 담당 차관은 대북 압박 강화와 관련해 언론의 각별한 주목을 받고 있는 인물이다. 그는 지난 21일 <로이터통신>과 회견에서 “북한의 자금 중 불법과 합법의 구분이 거의 없다”며 “우리(미)는 전세계 금융기관들한테 북한 관련 계좌 보유에 따른 위험성을 주의깊게 평가하도록 계속 권고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분이 어렵다’는 이유를 대며 북한의 모든 대외 계좌를 단속해 돈줄을 끊겠다는 의도를 숨기지 않은 셈이다.

실제 그가 지나가면 북한 계좌가 폐쇄된다. 베트남 사례가 대표적이다. 레비 차관이 지난달 중순 베트남을 방문한 뒤, 베트남은 북한 관련 계좌를 폐쇄했다. 여기엔 남북이산가족 상봉 행사 때 한국 방송사들이 위성송출 사용대금을 보낸 북한 쪽 계좌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정통한 외교소식통은 “국제금융계에서 미국의 위상을 고려할 때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며 미국의 경고를 무시할 수 있는 은행은 없다고 봐도 지나치지 않다”고 말했다.

북한에 있는 외국계 합작 대동신용은행(DCB)의 나이젤 카위 은행장은 최근 “이제 남은 금융창구는 러시아뿐”이라고 했다. 데이비드 애셔 전 미 국무부 동아태 담당 선임자문관은 “러시아 당국이 북한의 불법행위를 방치한다면 미국과 금융관계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이 이날 전했다.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의 ‘지하 핵실험 준비 조짐’을 전한 미국 언론의 17일 보도의 사실 여부에 대해 미 행정부는 명확한 언급을 피했다. 그러나 조지 부시 대통령은 18일 “북한이 (핵)실험을 한다면, 북한이 위협을 제기한다는 걸 끊임없이 확인시켜주는 것”이라고 한 데 이어, 21일 기자회견에선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한테 전화해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핵무기 개발을 중단하도록 경고할 필요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미 행정부 관리가, 대북 위기감을 높여 미국 주도의 대북 압박 국제공조에 힘을 불어넣으려고 ‘북 핵실험 준비 징후’를 일부러 언론에 흘렸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까닭이다.

6자회담 미국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다음달 초순 한국·중국·일본 등 아시아 순방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 또한 6자회담 재개 방안 모색보다는 대북 압박 공조 모색에 무게가 실릴 것이라는 관측이 높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미국이 북한을 토끼몰이하듯 궁지로 몰아가면, 행동반경이 좁아진 북한이 비합리적인 강경 대응으로 활로를 모색하려 할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진다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이제훈 기자 nomad@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