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8.26 00:31 수정 : 2006.08.26 00:31

미국 식품의약청(FDA)의 사후피임약 '플랜 B' 무처방 시판 허용이 낙태 찬반론자들의 논쟁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25일 보도했다.

FDA 창설 이후 최대 난제로 꼽혔던 사후피임약 무처방 시판 허용 문제는 FDA가 전날 조지 부시 대통령의 지지 속에 허용 결론을 내림으로써 3년 간에 걸친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부시 대통령은 앤드루 에센바흐 FDA 커미셔너 대행의 결정을 지지한다고 말해 사후피임약 무처방 시판 허용을 받아들인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낙태 찬성론자들은 자유로운 사후피임약 사용이 낙태를 줄이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적극적인 환영의사를 밝혔으나 낙태 반대론자들은 사후피임약이 오히려 낙태를 증가시킬 것이라는 상반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는 것.

낙태 찬성론자들은 FDA가 사용연령을 제한한 것은 불만이지만 사후피임약을 처방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결정을 적극 지지하고 있다.

찬성론자들은 원하지 않은 임신과 낙태의 필요성이 인정받은 것이라면서 이번 결정이 원하지 않는 임신을 피하고 여성의 건강과 인권을 보호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란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민주당 소속인 힐러리 클린턴과 패티 머레이 상원의원도 공동으로 발표한 성명을 통해 이번 결정은 여성의 건강 보호와 FDA가 행동하길 기다려온 미국민들을 위한 승리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종교계 등을 중심으로 한 낙태 반대론자들은 부시 대통령에 대한 실망감까지 표시하면서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반대론자들은 사후피임약이 의학적으로 낙태와 다를 바 없는 것은 물론 청소년들의 문란한 성행위를 부추겨 각종 질병과 임신문제만 악화시킬 것이라고 비난하고 잇다.

반대론자들은 특히 부시 대통령이 이번 결정을 지지하고 나섰다는 점에 대해 분노하면서 정치적으로 대가를 치를 것이란 경고까지 내놓고 있다.

낙태반대단체인 휴먼라이프인터내셔널의 토머스 유터니어 목사는 부시 대통령의 묵인 아래 이뤄진 이번 결정으로 부시 대통령의 최대 지지기반인 가톨릭계와 대통령 사이에 영원한 균열을 야기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뉴욕타임스는 이같은 논란에 대해 사후피임약이 낙태와 성병 발생에 미칠 영향이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소개하면서 낙태 찬반론자들이 잘못된 예측을 근거로 논쟁을 벌이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다.

김계환 특파원 kp@yna.co.kr (뉴욕=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