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사법부로부터 불법이라는 판결을 받아 곤혹스런 상황에 처했던 테러용의자 연루의혹 민간인에 대한 영장없는 도청문제도 활동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의회에 대해 조속한 입법을 촉구하며 반격에 나서기도 했다. 일각에선 여론조사 결과 유권자들이 현역 의원들에게 상당한 반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드러난 상황에서 다수당인 공화당 의원들로선 유일하게 상대적으로 우세를 보이고 있는 테러와의 전쟁을 중심이슈화하는 것 이외에 다른 선택의 길이 없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부시 대통령의 의도에 말리지 않으려는 듯 부시 대통령이 최근 CIA 비밀감옥을 인정하는 등 안보문제를 집중 언급하고 있는 것에 대해 실패를 자인하는 것이라며 유권자의 시선을 이라크에 잡아두며 부시 행정부의 실패를 부각시키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해리 리드 민주당 상원의원(네바다주)은 "공화당은 9.11의 교훈을 망각했고, 그 결과 미국을 안전하게 하는 데 실패했다"면서 "그들은 실패에 직면한 노선을 계속 추구하기를 바라지만 우리는 이라크에서 노선변화를 추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 여론조사 전문가인 마크 멜맨은 한때 공화당이 안보문제에선 우위였지만 이제 그런 경향은 눈에 띠게 줄어들었다며 부시 대통령의 `안보이슈화'가 이번엔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근 AP-입소스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 10명 가운데 6명은 미국이 이라크를 침공해 미국이 더 많은 테러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답했고, CNN 조사에선 `이라크 전쟁을 테러와의 전쟁의 일환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53%가 아니다고 답한 반면, 그렇다는 응답은 45%에 불과했다. 민주당의 반격도 만만치 않다. 민주당의 주도로 상원 정보위가 8일 공개한 CIA 정보보고서가 그 하나. 지금까지 부시 대통령은 사담 후세인 전 이라크 대통령과 알카에다의 관계를 이라크 전쟁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가장 핵심적 근거로 내세워왔지만 CIA 정보보고서는 이라크 전쟁전 후세인과 알카에다가 아무런 연관이 없었다고 결론을 내려, 부시 대통령의 이라크 침공 명분이 상당히 훼손될 위기에 처했다. 안보이슈가 첨예화되면서 부시 대통령은 부메랑 효과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이라크 상황으로, 이라크 사태가 악화되면 악화될수록 부시 대통령의 `안보이슈화 선거전략'은 오히려 공화당의 위기를 가속화할 수 있다고 미 언론들은 전망했다. 김병수 특파원 bingsoo@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