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스, “긴장 악화 조치 않을 것”
백악관, “오히려 미국 입장 강화 기대”
미국은 북한이 2차 핵실험을 하더라도 이미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안이 통과된 상황에서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미국 언론들이 18일 보도했다.
워싱턴 포스트는 아시아를 순방중인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이 북한의 2차 핵실험에 대해 우려는 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동북아의 긴장을 악화시킬 조치를 취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라이스 장관은 일본 도착전 기내에서 기자들에게 "우리는 현재의 위기가 고조되길 바라지 않는다"면서 "실제 우리의 목표는 북한의 행동에도 불구하고 위기가 감소하는 것을 보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관련, 니컬러스 번스 미 국무차관은 전날 폭스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다시 핵실험을 할 경우 "그 지역 국가들과 협력해, 외교적으로 매우 강력하게 대응할 준비가 돼 있다"고 언급했다.
CNN은 18일 백악관은 북한이 이미 핵보유국가로 간주되는 상황에서 2차 핵실험은 큰 의미가 없으며 오히려 미국의 입장이 더 강화되는 계기가 되길 희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CNN은 또 미 행정부는 대북 제제 속도와 관련, 주변국의 입장 때문에 '빠른 압박'을 원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 방송의 백악관 출입기자인 수전 말보는 '아메리칸 모닝'에 출연, "백악관은 핵국가로 간주되는 북한의 2차 핵실험이 용두사미격(anti-climatic)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하고 "백악관은 북한의 2차 핵실험이 한국과 중국 등 이웃 나라들이 북한 정권에 대해 강경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부시 행정부의 입장을 진짜로 강화시켜주길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미국이 현재의 상황에서 중국에 의존하는 것이 큰 모험이 아니냐"는 앵커 마일즈 오브라이언의 질문에 "중국은 북한을 너무 강하게 압박할 경우 정권이 붕괴하고 거대한 난민 문제에 봉착할 것을 우려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부시 행정부는 중국이 대북 제재에 단호하길 바라고 있으며, 북한을 너무 빠른 속도로 압박하지는 않으려 한다"고 말했다.
박노황 특파원 nhpark@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