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농무부, 유전자조작 쌀 “무해” 식용 승인 |
미국 농무부가 지난 8월 일반 쌀에 섞인 채 아칸소주와 미주리주 쌀 보관창고에서 발견돼 파장을 빚었던 유전자 조작쌀 LL601이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판명됐다면서 식용 허가 승인을 내줬다.
25일 워싱턴 포스트에 따르면 농무부는 노스 캐롤라이나주에 진출한 독일계 기업인 바이에르에 의해 개발된 LL601에 대해 美 동식물 검역소가 과학적 증거를 토대로 조사한 결과 일반 쌀과 마찬가지로 안전하다는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LL601이 일반 쌀과 섞인 사실이 보도된 후 외국에서 미국쌀 수입 금지 조치가 취해지고 쌀의 선물거래 가격이 10% 가량 하락, 미국 농가에 1억5천만 달러 상당의 피해를 입히는 등 큰 파장을 빚었으며, 이 때문에 아칸소와 미주리주의 농민 수백명이 바이에르를 상대로 집단 소송을 제기한 상태이다.
LL601은 쌀의 유전자를 조작, 제초제에 견딜 수 있는 단백질을 함유케 한 것으로, 바이에르측은 이 단백질이 이미 미국은 물론 캐나다, EU, 일본, 멕시코 등지에서 식용으로 승인을 받은 것이라면서 농무부의 승인 결정을 환영했다.
농무부는 그러나 이번 승인 결정과는 별도로 실험실에 있어야 할 LL601이 일반 쌀과 섞이게 된 유출 경위에 대해서는 계속 조사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결정에 대해 비영리단체인 식품안전센터(CFS)는 "농무부가 소비자의 건강보다 생명공학 업계의 성쇠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고 비판했으며, 피해 농민 3백명의 손배소송을 수행중인 애덤 레빗 변호사는 "유전자 변형쌀을 '프랑켄푸드'라며 놀리고 있는 유럽 등 수입국들이 미국산 쌀을 다시 신뢰하지 않는 한 수출 재개는 요원하다"며 평가 절하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박노황 특파원 nhpark@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