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연합뉴스)
|
“부시, 이란-시리아 직접대화 여전히 배제” |
미 행정부 안팎에서 이란, 시리아와 직접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조지 부시 대통령은 아랍권 내 동맹국하고만 대화한다는 기존 전략을 고수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뉴욕타임스가 28일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부시 대통령과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이 이번 주 요르단을 방문, 이라크 총리와 다수의 수니파 아랍 지도자들과 만나 이라크와 레바논 문제에 대한 해법을 모색할 예정이지만 이라크와 레바논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이란과 시리아 쪽 인사들은 접촉대상에서 배제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행정부 관리들은 부시 대통령과 라이스 장관이 이번 방문을 통해 사우디 아라비아와 요르단, 이집트가 누리 카말 알-말리키 이라크 총리와 반미 시아파 무장세력 지도자인 무크타다 알-사드르 사이를 떼어놓는데 힘을 보태주길 희망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수니파 지도자들을 통해 수니파 저항세력에 의한 폭력사태를 진정시키려 하고 있으며 지난 주말 사우디 아라비아를 방문했던 딕 체니 부통령도 같은 메시지를 전달했었다고 관리들은 부연했다.
뉴욕타임스는 미국의 지원요청에 수니파 국가들은 팔레스타인 문제 해결에 대한 미국의 약속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라이스 장관이 이번 중동방문 기간에 라말라와 예루살렘을 찾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이 가능한 부분이라고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라이스 장관이 가장 신뢰했던 측근으로 중동과 북한 문제 등에서 대결적인 정책보다는 협상정책을 주장해온 필립 젤리코 국무부 자문관이 사표를 제출한 것도 주목해야 할 사안이라고 뉴욕타임스는 지적했다.
대결보다는 협상을 주장해온 젤리코의 사임이 중간선거 패배 이후 부시 행정부가 외교전략 수정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나왔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것. 젤리코는 그동안 이라크를 포함한 중동과 북한 문제에 대한 부시 행정부의 정책에 실망감을 표시해왔다는 것이 행정부 관리들의 전언이다.
이들은 부시 행정부, 특히 국무부 내 외교국에서 이라크와 레바논 폭력상황을 진정시키기 위해서는 이란, 시리아와 대화노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었다고 말해 젤리코의 사임이 상징성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뉴욕=연합뉴스)
(뉴욕=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