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12.21 08:07 수정 : 2006.12.21 08:07

부시 어법 따라하기

조지 부시 미 대통령이 이라크전 정당화를 비롯해 자신의 민주주의 확산 정책을 미 국민에게 설명할 때면 제2차 세계대전 때 미국의 적국이었던 일본의 고이즈미 총리와 자신이 마주앉아 북한 핵문제를 비롯해 세계 평화 문제를 함께 논의하는 게 신기하다며 60여전엔 생각이나 할 수 있었던 일이냐고 반문하곤 한다.

부시 대통령을 만난 뒤 대학 교수 시절의 국제정치관을 바꿨다고 밝혔던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도 최근 부시 행정부 대외정책의 실패론에 대한 반박에 부시 대통령의 이러한 어법을 적극 차용하고 있다.

부시 대통령은 일본만 예로 들지만, 라이스 장관은 일본은 부시 대통령 몫으로 남겨두고 대신 독일, 한국, 체코 등 2차대전 후 시작된 냉전시대로부터의 사례를 든다.

19일 미 일부 신문과 간담회에서 라이스 장관은 부시 행정부의 외교정책에 대한 비판이 야당인 민주당은 물론 여당인 공화당과 국민들로부터도 나온다는 지적에 "역사적 비유가 완벽한 것은 아니다"면서도 1990년 동.서독 통일과 통일독일의 나토 가입을 "1948년이나 49년, 50년에 예측할 수 있었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한국을 방문해 민주적으로 선출된 한국 정부와 마주할 때면, 그리고 한국인이 유엔사무총장이 된 것을 보면서, 한국전쟁이 발발했던 1950년대에도 이런 일이 가능하다고 여겨졌을 것이라고 생각하느냐"고 묻고 "체코 대통령이 말한 대로, 나토 회의를 옛 소련 영토에서 열 줄을 1949년에 예측이나 했겠느냐"고도 반문했다.

라이스 장관은 또 해리 트루먼 전 대통령의 냉전 초입 정책을 "매우 어려운 상황에서 택한, 여야없이 인기없었던" 장기적 봉쇄 전략이었다고 말하고 현재를 냉전 초기와 같은 '장기 투쟁의 끝이 아닌 시작'이라고 규정함으로써 부시 대통령이 트루먼 전 대통령을 역할 모델로 삼으려 한다는 미 언론의 보도를 확인했다.

라이스 장관은 2005년 이래 레바논과 팔레스타인 등의 상황에 대해 "압제 세력 혹은 반격을 원하는 세력, 즉 반혁명 세력이 반동하지 않을 것이라고 기대했다면 역사를 잘 모르는 것"이라며 "전환기"의 어려움을 겪는 것이라는 인식을 나타냈다.


윤동영 특파원 ydy@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