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12.21 17:12 수정 : 2006.12.21 17:12

미국에서 25년 이상 비밀문건으로 분류돼 온 수억쪽 분량의 문건이 오는 31일 자정을 기해 일제히 비밀해제될 예정이어서 미 정부의 이면사를 연구하는 학자들을 흥분시키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 인터넷판이 21일 보도했다.

이번에 비밀해제되는 문건 가운데는 냉전의 산물인 공산주의자 동조 혐의자들에 대한 수사기록 등 연방수사국(FBI) 자료 2억7천여만쪽과 쿠바 미사일 위기, 베트남 전쟁, 미 정부 내 소련 첩자 네트워크 등에 관련된 문건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어떠한 문건이 공개돼 놀라움을 선사하게 될 지 예측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이를 기다리는 학자들은 기대와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아메리칸대학의 역사학 교수인 애너 넬슨은 "미국 역사가 이번에 비밀해제되는 문건들에 담겨 있다"며 문건들이 이란에서 중앙정보국(CIA)이 행했던 역할을 밝혀주고 특히 캠프데이비드 협정을 위시해 지미 카터 행정부 시절의 '은밀한' 부분에 빛을 비춰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빌 클린턴 전(前) 대통령이 지난 1995년 '계속 비밀자료로 유지해야 한다'는 해당 기관의 특별한 요청이 없는 한 25년 이상 비밀로 묶인 문건은 자동으로 비밀 해제토록 하는 데드라인 규정을 승인, 비밀해제 조치가 취해지게 됐다.

애초 이 데드라인 규정은 2000년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3년씩 두 차례 연장돼 마침내 올해 시행되는 것이다.

학계 일각에서는 현재 기록뿐 아니라 과거 정부의 대통령 관련 문건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고 비밀문건 재분류를 철저하게 해 온 점을 들어 부시 대통령이 데드라인 규정을 폐기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놀랍게도 예상과 달리 이를 전격 시행키로 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매년 12월31일 자정을 기해 25년 제한규정에 도달하는 수백만건의 문건이 자동으로 비밀해제돼 공개된다.


미 국립문서보관소(NAS)의 재분류 책임자인 윌리엄 레너드는 비밀해제 조치를 앞두고 "불행하게도 당신이 정부 기관들의 주목을 이끌어 내려면 때때로 '각목'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자동 비밀해제 조치야 말로 '각목'을 사용하는 효과가 아닐 수 없다"고 평가했다.

김재홍 기자 jaehong@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