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6자회담 이달 재개 신호 있다” |
미국 국무부는 5일 북핵 6자회담과 북한에 대한 금융제재 해제를 위한 회담이 이달 말께 베이징과 뉴욕에서 재개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국무부는 북한의 추가 핵실험 움직임 보도와 관련해 북한이 추가로 핵실험을 할 경우 6자회담에 심각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며 엄중 경고했다.
숀 매코맥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에게 “그들(6자회담 대표들)이 이번 달, 1월에 다시 회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는 신호가 있다”고 말했다.
매코맥 대변인은 미국은 차기 회담에서는 문제의 핵심에 이르러 북한이 비핵화로 나아가는 구체적인 조처에 초점이 맞춰지기 시작하길 바라고 있다고 밝혔다.
국무부는 또 6자회담과 병행해서 돈세탁 의혹을 받고 있는 마카오 방코델타아시아(BDA) 북한 계좌에 대한 금융제재 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회담도 날짜가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이달 말께 뉴욕에서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매코맥 대변인은 북한의 추가 핵실험 움직임 보도에 대해 “만약 북한이 추가적인 핵장치 실험을 한다면 (6자회담이라는) 정치적, 외교적 과정의 존속에 대해 심각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면서 “왜 북한이 지금 이 시점에 그런 조처를 취하겠느냐”고 반문하며 북한에 강력한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다.
앞서 미국을 방문중인 송민순 외교장관은 4일 저녁 워싱턴 특파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미국이 지난 회담에서 2005년 합의된 9·19 공동성명 이행의 돌파구가 될 수 있는 제안을 북한에 내놓은 상태”라면서 “한미 양국은 지금이 아주 중요한 시점이라고 보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한편 조지 부시 미 행정부는 이란과 시리아에 미사일과 무기류를 판매한 북한과 중국, 러시아 등 3개국 기업들에게 이번주 초 새로운 제재를 가해, 6자회담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워싱턴타임스>가 5일 보도했다. 북한의 탄광회사 1개와 중국 국영업체 3개, 러시아 업체 3개에 적용된 이번 제재조처는 향후 2년간 미 정부와 이들 기업간 교류를 금지하고 있다고 신문은 미 행정부 관리들의 말을 인용해 전했다. 북한의 이 탄광회사는 이란과 시리아 등에 물자를 수송하는데 일정한 역할을 했다는 이유로 제재를 받았다. 이 회사는 과거 미사일을 북한에서 이란으로 공수하는데도 연루됐었다고 미국 관리는 전했다. 워싱턴 류재훈 특파원 /AFP 연합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