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앤젤레스 타임스 보도
세계 최고의 갑부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회장 부부가 운영하고 있는 '빌 앤드 멀린다 게이츠' 재단이 질병퇴치에 앞장서고 있지만 공해산업에 투자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심각한 질병을 유발하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고 로스앤젤레스 타임스가 7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 2005년말 현재 350억달러를 운용하면서 지난해 6월에는 워렌 버핏이 307억달러를 기금으로 보탠 게이츠 재단은 전 세계 어린이들을 위한 소아마비 등 각종 백신의 예방 및 연구개발에 2억1천800만달러를 투자하면서 질병 퇴치에 앞장서고 있는 반면에 4억2천300만달러를 주로 석유회사 등 각종 공해배출 산업에 투자해 이득을 취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특히 이들 공해 산업체들은 환경 규제가 까다로운 미국이나 유럽을 피해 아프리카에서 거의 아무런 규제도 받지 않고 영업중이며 그 결과 게이츠 재단의 도움으로 백신을 맞은 어린이들이 재단이 투자한 회사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로 앓아눕는 이율배반적인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나이지리아 에보차 지역의 경우 이탈리아의 석유회사 '에니(Eni)'가 운영하는 정유 공장이 가동중이지만 굴뚝에서 밤낮으로 배출되는 매연 때문에 주민들이 고통을 겪고 있는데 게이츠 재단은 이 회사에 투자해 해마다 상당한 수익을 거두고 있다. 이 때문에 게이츠 재단이 제공한 소아마비를 비롯한 각종 백신을 맞은 이 지역 어린이들이 심각한 호흡기 질환을 앓고 있으며 회사측은 공장 배출물로 인한 질병이 아니라고 주장했으나 나이지리아 대법원은 주민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오는 5월 이후에는 공장가동을 중지시킨 상태다. 또 이들 지역에서는 공장 근로자들이나 시설 보호 군인들을 겨냥한 매춘 산업이 성행해 에이즈 바이러스가 확산되고 10대 임신 사례가 늘어나는 등 게이츠 재단이 천명한 사회복지, 교육, 에이즈 퇴치, 청소년 보호와는 거리가 먼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에보차가 위치한 리버스주(州) 일대의 건강실태를 조사한 노녜님 솔로몬 에니다 박사는 "오염물질이 강을 더럽혀 콜레라가 발생했고 다른 풍토병들도 발견되는 등 온갖 종류의 수인성 질병을 낳고 있다"며 "어린이들은 벤젠이나 크롬 등으로 오염된 공기를 마시면서 면역력이 저하되는 부작용도 낳고 있다"고 지적했다.장익상 특파원 isjang@yna.co.kr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