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여성의 성공을 수용하는 남성의 태도가 점점 더 광범위하게 퍼져가고 있다는 증거라고 환영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파워 커플의 증가는 소득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새로운 파워 엘리트층과 나머지 계층 사이에 위화감을 빚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진형 특파원 kjh@yna.co.kr (런던=연합뉴스)
|
‘트로피’ 아내 사라지고 ‘파워 커플’ 등장 |
성공한 남성들이 부상처럼 얻었던 젊고 아름다운 전업주부 아내의 매력이 점점 시들고 있다.
이제 성공한 남성들은 집에서 자녀를 돌보는 전업주부보다 고위 전문직 여성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고 영국 선데이 타임스 신문이 14일 보도했다.
미국 인디애나주 퍼듀대학의 경제학 교수인 폴 칼린은 학술지 '노동경제학' 최신호에 발표한 보고서에서 남성의 연봉과 아내의 근무시간 사이 상관관계가 최근 20년 동안 역전됐다고 말했다.
칼린 교수의 조사 결과 1980년대에는 남성의 연봉이 많을수록 아내가 일하는 시간이 더 적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아내의 근무시간이 연간 1천시간씩 늘어날 때마다 전문직 남성의 보수도 5.5%씩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할리우드 영화배우 마이클 더글라스와 캐서린 제타 존스 부부, 영국의 에드 볼스 재무부 차관과 이베트 쿠퍼 지방정부 차관 부부는 이 같은 파워 커플의 대표적인 실례라고 타임스는 말했다.
칼린 교수는 과거 성공한 남성의 아내를 집에 묶어두는 요인으로 작용했던 남녀간 연봉 격차와 직장내 차별관행이 줄어들면서 기혼 여성을 직장으로 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남녀간 임금격차는 1970년에 45%였으나 2002년에는 25%로 떨어졌다. 기혼여성의 취업률도 1980년대 초반 50%에서 이제 70%에 근접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여성의 성공을 수용하는 남성의 태도가 점점 더 광범위하게 퍼져가고 있다는 증거라고 환영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파워 커플의 증가는 소득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새로운 파워 엘리트층과 나머지 계층 사이에 위화감을 빚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진형 특파원 kjh@yna.co.kr (런던=연합뉴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여성의 성공을 수용하는 남성의 태도가 점점 더 광범위하게 퍼져가고 있다는 증거라고 환영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파워 커플의 증가는 소득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새로운 파워 엘리트층과 나머지 계층 사이에 위화감을 빚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진형 특파원 kjh@yna.co.kr (런던=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