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힐 “북 IAEA사찰 수용-대가치르기 택일해야” |
힐 차관보는 북한이 이번 주말까지 6자회담 '2.13합의'에 따라 핵시설 폐쇄.봉인 발표를 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을 회피했다.
다만 오는 15일 고(故) 김일성 주석의 95회 생일을 앞두고 북한의 수도 평양에서 연일 다채로운 축제행사가 열리고 있는 점을 고려한 듯 "주말에 많은 행사들이 있다"면서 "최근 새 총리를 임명하고 경제개발계획을 발표한 의미가 뭔지는 그들에게 직접 물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힐 차관보는 당초 14일로 예정된 북측 초기이행조치 시한을 연장할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아니다. 중국측과 협의할 것"고 밝혔다.
그는 베이징에서 김계관 북한 외무성 부상과 만날 가능성에 대해 "그것은 북한측의 결정에 달린 것"이라며 "나는 그 문제에 대해 아무 것도 기대하지 않고 있다"고 답변했다.
앞서 힐은 서울 출국에 앞서 "이제 BDA 문제는 해결됐기 때문에 마카오 문제가 아니다"면서 "엄밀하게 말해 북한이 약속한 핵폐기 약속을 완전 이행하느냐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한편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방코델타아시아(BDA) 북한자금 동결 해제에 관한 조선중앙통신 기자의 질문에 답변하는 형식의 성명에서, BDA의 자금동결 해제 여부를 확인해 사실로 증명되면 행동을 할 것이라면서 '2.13합의' 이행 의지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자신이 베이징에서 어떤 중국 관리들과 만날 계획인지, 며칠 동안이나 베이징에 체류할 것인지에 대해 밝히지 않았으나 중국측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외교부 부부장과 만나 '2.13합의' 초기조치 이행시한을 넘긴 후의 대책 및 6자회담 재개 방안 등에 대해 협의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미국 관리들은 영변 원자로 폐쇄와 IAEA 사찰단 검증 절차를 진행하는 데 수주가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밝혀, 14일 시한 엄수는 사실상 물건너갔다고 미 언론들은 보도했다.
그러나 북한이 시한을 지키지 못한다 해도 미국도 2.13 합의후 한달내 BDA 문제를 처리한다는 약속을 어겼기 때문에 미국과 6자회담 참여국들이 북한에 제재를 가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AP 통신은 전문가들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cbr@yna.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