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7.04.27 19:05
수정 : 2007.04.27 19:05
미 의회 분위기
2차대전 당시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과 관련해 일본 정부의 공식사과를 요구하는 미 하원 결의안 121호를 둘러싼 미 의회 내부의 힘겨루기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26일 현재 결의안에 지지서명한 하원의원들의 숫자가 100명을 기록해 결의안 통과 가능성이 높아졌지만, 일본쪽의 로비와 압력도 그만큼 배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헨리 하이드 전 하원 국제관계위원장은 크리스 스미스(공화·뉴저지) 하원의원과 함께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방문일에 맞춰 26일 <워싱턴타임스>에 ‘위안부에 관한 진실’이란 기고를 했다. 이들은 “아베 총리가 최근 성적 노예를 강요한 적이 없다고 부인한 것은 희생자들과 그들이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고통과 슬픔을 영구화시켰다”며 “2차대전 당시 일 제국주의가 저지른 과오를 용기있게 시인하고 잘못을 바로잡을 것”을 촉구했다.
은퇴하긴 했지만 미 의회에 대한 영향력이 큰 하이드 전 위원장은 기고문에서 부끄러운 역사를 용기있게 인정한 미국 지도자들을 본받으라고 충고해, 미국내 한인단체들과 미국 엠네스티 등 인권단체들이 벌이고 있는 결의안 지지운동에 큰 힘을 실어주고 있다.
반면, 일본 쪽의 반대활동도 필사적이다. 대표주자로 나선 일본계 8선 상원의원 대니얼 이노우에(민주·하와이)는 톰 랜토스 위원장과 에니 팔레오마베가 동아태환경소위원장, 결의안을 낸 마이클 혼다 의원에게 결의안이 “미-일 관계를 손상시킬 수 있다”며 처리 자제를 요청하는 편지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혼다 의원은 “위안부 문제는 미-일간의 외교문제가 아니라 역사에 희생된 여성 권익문제”이며 “미-일 관계를 손상시키는 게 아니라 더 공고히 할 것”이라는 답신을 즉각 보내 반박한 것으로 소식통은 전했다.
하원의원들의 결의안 지지서명 청원운동을 벌이고 있는 뉴욕·뉴저지 한인 유권자센터 김동석 소장은 26일 “비공식 집계로 100명의 하원의원들이 서명에 동참하게 됐다”며 결의안 상정 전까지 서명 의원을 120명까지 늘리는 데는 별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워싱턴/류재훈 특파원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