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4.27 19:38 수정 : 2007.04.27 19:38

일본인 납치문제 연계…방미중 아베 의식한듯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은 일본인 납치 문제가 해결되기 전까지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북한을 제외할 의사가 없다고 데니스 윌더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동아시아담당 보좌관이 26일(현지시각) 밝혔다.

윌더 보좌관은 이날 27일로 예정된 미-일 정상회담에 관한 브리핑에서 “부시 대통령이 이런 견해를 분명히 확언할 것”이라며 “납치 문제와 테러지원국 명단 삭제 문제를 별개로 분리할 생각이 없다”고 강조했다. 톰 케이시 국무부 대변인도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의 테러지원국 명단 제외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과정”이라며 월더 보좌관의 발언을 재확인했다.

이는 미국 국무부가 머지않아 발표할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북한을 제외하지 않을 것임과 함께, 앞으로 검토 과정에서 ‘일본인 납치 문제 진전’을 잣대의 하나로 삼을 방침임을 강조한 것이다. 현재 미국이 정한 테러지원국 명단에는 북한과 쿠바, 이란, 시리아, 수단 등 5개국이 올라 있다. 외교통상부 당국자는 27일 “예상했던 것으로, 놀랄 일은 아니다”라는 반응을 보였다.

문제는 미국이 이런 방침을 공개 천명한 배경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미국의 이번 발언은 워싱턴에 와 있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를 염두에 둔 것”이라며 “미-일 관계를 두고 여러 얘기가 나오는 상황에서 부시 대통령이 일본에 연대의 메시지를 보낸 셈”이라고 평가했다. 안팎으로 처지가 어려운 아베 총리를 배려하려는 일종의 ‘정치적 제스처’라는 것이다.

앞서 아베 총리는 지난 22일 도쿄에서 열린 ‘납북피해자 구출을 위한 국민 대집회’에서 “납치 문제 해결 없이는 (북한과) 국교 정상화는 없다”며 “강철 같은 의지로 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뜻을 (미국에) 전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제훈 기자

워싱턴/류재훈 특파원 nomad@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