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4.30 23:22 수정 : 2007.04.30 23:22

미 2007 테러보고서 발표

미국 국무부는 30일 북한을 예년과 같이 ‘테러지원국’으로 규정하는 ‘2007년 테러리즘 국가보고서’를 발표했다. 그러나 국무부는 북한의 테러지원국 지정 사유에서 한국인 납북자 문제 부분을 삭제하고, 일본인 납북자 관련 부분의 표현 등을 완화했다.

보고서는 북한을 지난해와 같이 쿠바·수단·시리아·이란 등과 함께 테러지원국 명단에 포함시켰다. 보고서는 북한의 테러지원국 지정 사유에서 지난해 포함됐던 ‘한국전쟁 이래 납치 또는 억류된 사람이 약 485명에 달한다고 한국 정부는 추산한다’는 등의 내용을 삭제했다. 일본인 납북자와 관련해서도 전체적인 길이를 줄여 내용을 단순화하고 문제해결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정리했다. 그러나 1970년 항공기 납치행위와 관련된 적군파 요원들이 북한에 머물고 있다는 언급 등 전체적 뼈대는 그대로 유지했다.

한편 보고서는 전 세계 테러 공격이 주로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내 민간인들에 대한 공격 증가로 인해 지난해 29% 증가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지난해 테러 공격이 1만4338건으로 2005년의 1만1111건보다 29% 증가했으며 이 중 무려 45%가 이라크에서 발생한 것으로 집계했다.

미국 국무부는 매년 4월 말까지 연례 테러보고서를 작성해 의회에 보고하도록 의무화되어 있다. 이 테러 보고서는 미국 국가대테러센터(NCC) 산하 16개 정보기관이 수집한 정보에 기초해 작성된 것이다. 중앙정보국을 포함한 16개 정보기관들은 테러리스트들의 ‘안전한 도피처’에 관한 별도의 보고서도 준비할 예정이다. 워싱턴/류재훈 특파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