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다가 미국 정보수집의 키를 쥐고 있는 중앙정보국(CIA)의 조지 테닛 전 국장이 지난달 30일 발간된 '폭풍의 한복판에서'라는 회고록을 통해 "백악관과 국방부 고위관리들이 지난 2001년 9.11 테러가 발생하기 훨씬 전부터 이라크 침공을 결심했다"고 폭로, 큰 파장을 낳았다. 테닛은 나아가 "딕 체니 부통령과 도널드 럼즈펠드 전 국방장관의 참모들이 전쟁을 공론화하기 위해 속임수를 썼다"고 비판했다. 강경 보수파인 네오콘들은 이미 지난해 중간선거 이후 부시 행정부에 등을 돌리고 비판을 일삼고 있다. 보수성향 미국기업연구소(AEI) 니컬러스 에버스타트 연구원 등 네오콘들 대다수가 "부시가 무원칙한 정책을 취하고 있다"며 무소신과 무원칙을 질타하고 있다. ◇ 밀물처럼 빠져나가는 핵심인사들 = 국무부와 국방부 등 핵심부서 관리들의 '사퇴' 러시가 줄을 잇고 있다. 표면적으론 건강이나 가족 문제를 이유로 내세우고 있지만 힘빠지는 '부시호(號)'에서 탈출하려는 것과 무관치 않다. 무엇보다 국무부의 탈출현상이 심각하다. 부시 대통령의 '텍사스 사단' 핵심멤버인 실세 카렌 휴즈 홍보담당 차관의 핵심측근인 디나 하비브 파웰 교육.문화담당 차관보가 곧 사퇴할 예정이다. 그녀는 부시 대통령의 중동 방문을 밀착수행할 정도로 신임이 두터웠다. 앞서 배리 로웬크론 민주주의.인권.노동 담당 차관보도 이틀전 사임을 발표했고, 닷새전엔 부장관급인 랜덜 토비어스 국제개발처(USAID) 처장이 스캔들로 중도하차했다. 연초엔 로버트 조지프 군축담당 차관보가 북핵정책에 불만을 품고 물러났고, 앞서 콘돌리자 라이스 장관의 보좌관으로 영향력을 행사해온 필립 젤리코 자문관, 존 볼턴 전유엔 대사, 스티븐 크레이스너 기획국장이 잇따라 보따리를 쌌다. 미 국방부의 한반도 정책 실무책임자였던 리처드 롤리스 아시아태평양 담당 부차관도 지난달 5일 건강을 이유로 공식 사임의사를 피력했다. 앞으로도 짐을 챙길 핵심부처 인사들이 많을 것이라는 관측이 적지 않다. ◇ 탄핵론 잦아지는 험악한 분위기 = 진보성향의 버몬트주 상원은 지난달 20일 부시 대통령과 딕 체니 부통령에 대한 탄핵요구 결의안을 가결했다. 국내외에서 대통령과 부통령이 하는 통치행위들이 합헌성, 적법성, 공공신뢰의 심각한 위반을 야기하고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물론 이 결의안은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부시 대통령에 대한 일련의 탄핵 움직임과 맞물린 것이어서 부시의 조기 레임덕을 가속화하는 효과가 적지 않다. 앞서 지난 3월에는 버몬트주 내 40개 도시 대표들이 유사한 탄핵촉구 결의안을 채택한 바 있고, 위스콘신, 워싱턴 주의회들도 비슷한 결의안을 추진하고 있다. 또 민주당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과 가까운 미 연방하원 세출위 소속 존 머사 국방소위원장은 지난 29일 CBS 방송에 출연, 이라크 철군을 압박하기 위해 부시 대통령에 대한 탄핵 가능성을 제기했다. 물론 민주당 전체가 부시 탄핵에 나설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민주당과 국민 사이에서 부시 대통령에 대한 강한 '비토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는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조복래 특파원 cbr@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
임기후반 레임덕 시달리는 부시 |
"권불십년 화무십일홍(權不十年 花無十日紅)"이라 했던가.
요즘 잇단 악재로 안팎 곱사등이 신세가 된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에게 이보다 더 어울리는 말은 없을 듯 싶다.
지난해 10월이후 무려 8개월째 지지도가 30% 중반에 맴돌고 있고, 부시 행정부를 떠받쳐온 고위관리들이 줄사퇴하고 있는가 하면, 측근들이 등을 돌려 비수를 꽂는 일들이 다반사로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직 대통령의 지지율이 40%대 이하로 떨어진 것은 미 역사상 트루먼과 닉슨 전 대통령 뿐이었을 정도로 유례를 찾기 힘든 일이다.
게다가 민주당이 의회를 장악, 민주당의 협조없이는 국정통치 자체가 어렵게 됐고, 차기 대권주자들도 너나할 것 없이 부시 행정부의 무능과 아집을 통렬하게 비판하는 형국이다.
캘리포니아주 시미 밸리에 있는 로널드 레이건 전대통령 도서관에서 3일 개최되는 공화당 대선주자 첫 토론회에 참석하는 주자들도 예외없이 현직 대통령을 외면하고 공화당원들에게 아직도 인기가 높은 레이건 닮기 경쟁을 벌이고 있다.
◇ 부시의 등에 비수꽂는 측근들 = 한때 부시 대통령을 '주군'으로 모셔온 핵심 측근들이 아직 퇴임을 1년9개월이나 남겨둔 대통령을 비판하는 일이 허다하게 벌어지고 있다.
콜린 파월 전 국무장관과 존 볼턴 전 유엔대사가 이라크 및 북한 정책과 관련, 기회있을 때마다 강도높은 비판을 가하는 것은 그 대표적 사례다.
게다가 미국 정보수집의 키를 쥐고 있는 중앙정보국(CIA)의 조지 테닛 전 국장이 지난달 30일 발간된 '폭풍의 한복판에서'라는 회고록을 통해 "백악관과 국방부 고위관리들이 지난 2001년 9.11 테러가 발생하기 훨씬 전부터 이라크 침공을 결심했다"고 폭로, 큰 파장을 낳았다. 테닛은 나아가 "딕 체니 부통령과 도널드 럼즈펠드 전 국방장관의 참모들이 전쟁을 공론화하기 위해 속임수를 썼다"고 비판했다. 강경 보수파인 네오콘들은 이미 지난해 중간선거 이후 부시 행정부에 등을 돌리고 비판을 일삼고 있다. 보수성향 미국기업연구소(AEI) 니컬러스 에버스타트 연구원 등 네오콘들 대다수가 "부시가 무원칙한 정책을 취하고 있다"며 무소신과 무원칙을 질타하고 있다. ◇ 밀물처럼 빠져나가는 핵심인사들 = 국무부와 국방부 등 핵심부서 관리들의 '사퇴' 러시가 줄을 잇고 있다. 표면적으론 건강이나 가족 문제를 이유로 내세우고 있지만 힘빠지는 '부시호(號)'에서 탈출하려는 것과 무관치 않다. 무엇보다 국무부의 탈출현상이 심각하다. 부시 대통령의 '텍사스 사단' 핵심멤버인 실세 카렌 휴즈 홍보담당 차관의 핵심측근인 디나 하비브 파웰 교육.문화담당 차관보가 곧 사퇴할 예정이다. 그녀는 부시 대통령의 중동 방문을 밀착수행할 정도로 신임이 두터웠다. 앞서 배리 로웬크론 민주주의.인권.노동 담당 차관보도 이틀전 사임을 발표했고, 닷새전엔 부장관급인 랜덜 토비어스 국제개발처(USAID) 처장이 스캔들로 중도하차했다. 연초엔 로버트 조지프 군축담당 차관보가 북핵정책에 불만을 품고 물러났고, 앞서 콘돌리자 라이스 장관의 보좌관으로 영향력을 행사해온 필립 젤리코 자문관, 존 볼턴 전유엔 대사, 스티븐 크레이스너 기획국장이 잇따라 보따리를 쌌다. 미 국방부의 한반도 정책 실무책임자였던 리처드 롤리스 아시아태평양 담당 부차관도 지난달 5일 건강을 이유로 공식 사임의사를 피력했다. 앞으로도 짐을 챙길 핵심부처 인사들이 많을 것이라는 관측이 적지 않다. ◇ 탄핵론 잦아지는 험악한 분위기 = 진보성향의 버몬트주 상원은 지난달 20일 부시 대통령과 딕 체니 부통령에 대한 탄핵요구 결의안을 가결했다. 국내외에서 대통령과 부통령이 하는 통치행위들이 합헌성, 적법성, 공공신뢰의 심각한 위반을 야기하고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물론 이 결의안은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부시 대통령에 대한 일련의 탄핵 움직임과 맞물린 것이어서 부시의 조기 레임덕을 가속화하는 효과가 적지 않다. 앞서 지난 3월에는 버몬트주 내 40개 도시 대표들이 유사한 탄핵촉구 결의안을 채택한 바 있고, 위스콘신, 워싱턴 주의회들도 비슷한 결의안을 추진하고 있다. 또 민주당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과 가까운 미 연방하원 세출위 소속 존 머사 국방소위원장은 지난 29일 CBS 방송에 출연, 이라크 철군을 압박하기 위해 부시 대통령에 대한 탄핵 가능성을 제기했다. 물론 민주당 전체가 부시 탄핵에 나설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민주당과 국민 사이에서 부시 대통령에 대한 강한 '비토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는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조복래 특파원 cbr@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게다가 미국 정보수집의 키를 쥐고 있는 중앙정보국(CIA)의 조지 테닛 전 국장이 지난달 30일 발간된 '폭풍의 한복판에서'라는 회고록을 통해 "백악관과 국방부 고위관리들이 지난 2001년 9.11 테러가 발생하기 훨씬 전부터 이라크 침공을 결심했다"고 폭로, 큰 파장을 낳았다. 테닛은 나아가 "딕 체니 부통령과 도널드 럼즈펠드 전 국방장관의 참모들이 전쟁을 공론화하기 위해 속임수를 썼다"고 비판했다. 강경 보수파인 네오콘들은 이미 지난해 중간선거 이후 부시 행정부에 등을 돌리고 비판을 일삼고 있다. 보수성향 미국기업연구소(AEI) 니컬러스 에버스타트 연구원 등 네오콘들 대다수가 "부시가 무원칙한 정책을 취하고 있다"며 무소신과 무원칙을 질타하고 있다. ◇ 밀물처럼 빠져나가는 핵심인사들 = 국무부와 국방부 등 핵심부서 관리들의 '사퇴' 러시가 줄을 잇고 있다. 표면적으론 건강이나 가족 문제를 이유로 내세우고 있지만 힘빠지는 '부시호(號)'에서 탈출하려는 것과 무관치 않다. 무엇보다 국무부의 탈출현상이 심각하다. 부시 대통령의 '텍사스 사단' 핵심멤버인 실세 카렌 휴즈 홍보담당 차관의 핵심측근인 디나 하비브 파웰 교육.문화담당 차관보가 곧 사퇴할 예정이다. 그녀는 부시 대통령의 중동 방문을 밀착수행할 정도로 신임이 두터웠다. 앞서 배리 로웬크론 민주주의.인권.노동 담당 차관보도 이틀전 사임을 발표했고, 닷새전엔 부장관급인 랜덜 토비어스 국제개발처(USAID) 처장이 스캔들로 중도하차했다. 연초엔 로버트 조지프 군축담당 차관보가 북핵정책에 불만을 품고 물러났고, 앞서 콘돌리자 라이스 장관의 보좌관으로 영향력을 행사해온 필립 젤리코 자문관, 존 볼턴 전유엔 대사, 스티븐 크레이스너 기획국장이 잇따라 보따리를 쌌다. 미 국방부의 한반도 정책 실무책임자였던 리처드 롤리스 아시아태평양 담당 부차관도 지난달 5일 건강을 이유로 공식 사임의사를 피력했다. 앞으로도 짐을 챙길 핵심부처 인사들이 많을 것이라는 관측이 적지 않다. ◇ 탄핵론 잦아지는 험악한 분위기 = 진보성향의 버몬트주 상원은 지난달 20일 부시 대통령과 딕 체니 부통령에 대한 탄핵요구 결의안을 가결했다. 국내외에서 대통령과 부통령이 하는 통치행위들이 합헌성, 적법성, 공공신뢰의 심각한 위반을 야기하고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물론 이 결의안은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부시 대통령에 대한 일련의 탄핵 움직임과 맞물린 것이어서 부시의 조기 레임덕을 가속화하는 효과가 적지 않다. 앞서 지난 3월에는 버몬트주 내 40개 도시 대표들이 유사한 탄핵촉구 결의안을 채택한 바 있고, 위스콘신, 워싱턴 주의회들도 비슷한 결의안을 추진하고 있다. 또 민주당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과 가까운 미 연방하원 세출위 소속 존 머사 국방소위원장은 지난 29일 CBS 방송에 출연, 이라크 철군을 압박하기 위해 부시 대통령에 대한 탄핵 가능성을 제기했다. 물론 민주당 전체가 부시 탄핵에 나설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민주당과 국민 사이에서 부시 대통령에 대한 강한 '비토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는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조복래 특파원 cbr@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