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시 대통령은 울포위츠 퇴진 논란에 개입하지 않았다'며 한 발 빼는듯 하던 백악관 역시 부시 대통령의 울포위츠 지지에 변함이 없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부시 행정부가 이처럼 `울포위츠 구하기'에 적극적인 이유는 무엇일까. 전통적으로 미국 몫인 세계은행 총재 자리를 확실히 지키겠다는 의도가 주요 배경이란 지적이 있다. 국제통화기금(IMF) 총재 자리를 유럽국가 출신이 맡아온데 비해 세계은행 총재는 미국이 차지하는게 거의 당연시돼왔다. 그러나 울포위츠 총재가 특혜 의혹 속에 불명예 퇴진할 경우 미국의 총재직 독차지에 대한 이견이 제기될 수 있다는 것. 특히 중국 등의 경제성장에 따라 세계은행 지배구조 개혁 논의가 한창인 점을 감안하면 울포위츠의 퇴진은 미국의 위상 약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울포위츠가 물러날 때 물러나더라도 일방적인 불명예 퇴진이 아니라 최대한 체면을 갖추도록 하려는게 미국 입장이라는 분석이다. 울포위츠가 부시 행정부의 비밀을 너무 많이 알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라크 전쟁의 기획자'로까지 불리는 울포위츠는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전쟁과 관련한 핵심 비밀들을 소상히 꿰고 있기 때문에 섣불리 그를 압박했다가는 정권을 흔들 수 있는 폭탄발언이 터져나올 수 있다는 것. 부시 행정부의 핵심 인물이었던 존 볼턴 전유엔 주재 미국대사가 퇴임 후 부시 행정부를 맹비난하고 있지만, 만일 퇴진 압박에 화가 난 울포위츠가 부시 행정부를 향해 비난의 포문을 열 경우 그 타격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클 것이라고 소식통들은 밝혔다. 따라서 부시 행정부로서는 울포위츠 총재 스스로 퇴진을 결심하기 전까지는 최대한 그를 감싸고 옹호하려 할 것이란 관측이다. 이같은 미국 정부의 입장 때문에 울포위츠 총재의 진퇴도 섣불리 가늠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울포위츠 총재가 이사회의 불신임 결의를 받아들여 스스로 물러난다면 논란은 수습되겠지만 앞으로도 버티기로 일관할 경우 적어도 당분간은 강제 퇴진이 어려운 상황을 맞을 수도 있다고 소식통들은 분석했다. 이기창 특파원 lkc@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