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테러보고서, 6년만에 `알카에다 경계령'
민주 일각 "이라크 철군논쟁 물타기 의혹"
지난 2001년 9.11 사태가 발생 직후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이 `테러와의 전쟁'을 선언하고 9.11을 일으킨 알카에다 발본색원에 나선 지 약 6년만인 17일 미국 정보당국이 또다시 `알카에다 경계령'을 발령했다.
특히 알카에다가 이라크내 알카에다 조직원을 활용해 미 본토를 공격하려고 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돼 부시 행정부와 민주당 주도 의회간에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이라크 주둔 미군 철수 논란에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중앙정보국(CIA) 등 미국 내 16개 정보당국은 이날 공동발표한 `테러위협 정보평가 보고서'에서 새로운 테러능력을 혁신적으로 창출하고 장애물을 극복해왔다고 주장해온 알카에다가 "미국으로 조직원을 침투시키려는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정보당국은 9.11 사태 이후 미국내에서 알카에다 지도부와 연계된 고작 몇명의 혐의자들만 적발했지만 알카에다는 조직원들을 이곳으로 보내려는 노력을 강화할 것이라는 게 정보당국의 판단"이라면서 "이에따라 미국은 현재 한층 높아진 테러위협 환경에 놓여있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알카에다가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국경지역에 안전한 활동거점을 마련, 미 본토를 공격할 수 있는 기본요소들을 보호하고 되살리는 등 세력을 강화해왔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또 보고서는 알카에다가 미 본토를 추가적으로 공격하기 위해 이라크에 있는 알카에다 조직과 재원을 활용하려고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동안 부시 행정부내 관리들은 이라크전쟁이 알카에다에게 조직원들을 훈련시키고, 테러조직의 능력을 시험하는 장이 돼 왔다며 이라크전쟁에서 승리하는 게 미국의 안보문제와도 직결된다고 주장해왔다. 이라크 주둔 미군의 조속한 철군을 주장하고 있는 민주당 일각에선 이날 보고서 공개에 대해 "이라크미군 철군 논쟁을 둘러싼 미국내 여론의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기 위한 정치적 술수가 아니냐"면서 `알카에다 경계령' 제기 시점에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토니 스노 백악관 대변인은 "우리는 테러관련 보고서를 선반위에 올려놓고 `(이를 제기할)좋은 시점을 찾아보자'라고 하지는 않는다"면서 음모론을 일축하고 "이것이 실제 위협이라는 점을 국민들에게 상기시키려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보고서는 공격적인 반미논리가 만연한 이슬람 웹사이트와 서방국가에서의 자생적인 테러조직수 증가 등으로 미뤄볼 때 이슬람 과격주의가 널리 확산되고 있다면서 "이같은 문제는 미국보다도 유럽에서 더 직접적인 문제가 되고 있지만, 미국내 극단주의자들도 점점 더 이데올로기적으로나, 사이버공간 및 실질적으로 전세계적인 극단주의 활동과 연계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병수 특파원 bingsoo@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