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연체율
|
주택담보대출 연체→집값하락 ‘악순환’ 이어져
세제정비·서민 구제 고심…묘책 없어 ‘전전긍긍’
미국 주택시장의 ‘날개 없는 추락’이 이어지고 있다. 높아진 금리와 대출기관들의 신용 제공 기피로 거리에 나앉게 된 미국인들도 갈수록 늘고 있다.
미국 모기지은행협회는 2분기에 새로 압류처분에 들어간 주택 비율이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 기간에 전체 주택 중 대출금을 갚지 못해 압류처분에 들어간 주택은 0.65%로, 지난 1분기(0.58%)와 지난해 4분기(0.43%)에 이어 3분기 연속 최고기록을 갈았다.
압류주택 증가에는 신용도가 낮은 대출자들을 대상으로 한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주택들이 큰 역할을 했다. 미국 모기지시장의 15% 가량을 차지하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문에서는 2분기 연체율이 1분기보다 1.05%포인트 오른 14.82%까지 솟았다. 변동금리를 적용받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분야는 금리 인상 여파로 2분기 연체율이 16.95%로, 7가구 중 1가구가 대출금을 제 때 갚지 못했다.
신용도가 좋은 대출자들을 상대로 한 프라임론 부문에서도 2분기 연체율은 1분기보다 0.15% 증가한 2.73%를 기록했다. 프라임론에서도 변동금리를 적용받는 대출상품을 이용한 가구의 연체율은 4.15%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4% 증가했다.
이번 조사에서 연체율이 높은 지역은 주로 집값 상승이 가팔랐던 지역으로 나타나, 투기 열풍의 부작용을 실감케 하고 있다. 캘리포니아·플로리다·네바다·애리조나주가 부동산 경기 침체의 영향을 집중적으로 받고 있다. 더그 던컨 모기지은행협회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이 4개 주의 문제가 지속되면서 미국의 주택시장의 전체 수치를 좌우하고 있다”고 밝혔다.
|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연체율
|
이본영 기자 ebon@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