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9.12 20:38 수정 : 2007.09.12 20:38

감시시스템 납품업체에 1억5천만달러 투자

중국 당국의 감시 시스템을 납품하는 보안산업에 미국 헤지펀드가 자금줄 노릇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

신문은 11일 최근 중국에서 붐을 일으키고 있는 보안산업에 미국 헤지펀드가 지난해만 1억5천만달러(1400억원)를 투자했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지난해 겨울 치안 강화 명목으로 전국 660여개 도시에 첨단 감시시스템을 설치해 운영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런 당국의 정책과 맞물려 중국의 보안산업은 2003년 5억달러(4662억원)에서 2010년 43억1천만달러(40조원) 규모로 팽창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 보안시스템 업체는 이런 막대한 수요를 맞추기 위해 미국 헤지펀드의 자금을 끌어들이고 있다.

중국 치안당국과 교도소, 은행 등에 보안시스템을 공급하는 중국치안감시기술과 중국공공안전기술 등 몇몇 선두 기업들은 뉴욕증권시장 상장이 승인돼 곧 거래가 이뤄질 예정이다. 이들 헤지펀드의 자금은 고성능 감시 카메라 개발 뿐 아니라 얼굴인식 소프트웨어 등 통합 보안시스템 개발에 이용되고 있다.

신문은 중국의 보안시스템 업체와 헤지펀드의 이런 결합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민주당 하원의원 톰 랜토스는 “미국 기업이 중국 보안업체의 자금줄 노릇을 하는 것은 무책임하고 믿을 수 없는 현상”이라며 조사계획을 밝혔다.

중국 보안업체와 미국 헤지펀드 업계는 범죄와 테러 방지를 위해 필요한 일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백악관 공보관계자도 “합법적인 기업의 사적 거래에 관여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고 밝혔다.

인권단체들은 중국의 감시시스템 강화가 신장과 티벳 등 소수민족과 반정부 인사에 대한 효율적 통제에 기여할 것이라며 헤지펀드의 투자에 윤리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박병수 기자 suh@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