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10.16 00:44 수정 : 2007.10.16 00:44

당시와 비슷한 점 많지만 폭락 재연 가능성은 낮을 듯

1987년 10월19일 월요일,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하루 낙폭으로는 역대 최대인 508포인트(22.6%)나 폭락한 '검은 월요일'(블랙 먼데이)이 발생한지 이번 주로 20년이 된다.

증시가 요즘 활황세를 보이면서 미국의 투자자들은 주택경기 침체와 여름의 신용경색 위기에 대한 우려를 덜어낸듯 보이지만 일부에서는 블랙먼데이에 대한 망령이 여전히 남아있다.

미 증시는 전통적으로 10월에 대부분 강세를 보였고 종종 4.4분기 랠리의 시작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10월은 증시에서 폭락의 공포가 현실화되는 달이기도 했다. 1929년 이틀간 증시가 이틀간 23%나 추락하면서 대공황을 알린 증시 대폭락도 10월에 발생했고 1997년 10월27일에도 다우지수가 7.2%나 떨어지기도 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5일 블랙먼데이 발생 20년을 맞아 당시와 현재의 상황을 비교.분석하면서 블랙먼데이 같은 폭락이 지금 재연될 것 같지는 않다고 보도했다.

당시와 비슷한 점을 보면 증시의 활황을 우선 들 수 있다. 1987년 증시는 5년 연속 강세장을 보이면서 피로감을 보였었다. 달러화 가치의 약세도 최근 유로화에 대해 연일 최저치를 기록한 요즘과 비슷하다. 미국이 무역적자에 시달리고 아시아 상품의 미국 시장 공략도, 당시는 일본이 지금은 중국이라는 점만 다를 뿐 유사하다. 또 기업인수가 활발해지면서 대출시장이 혼란에 빠졌던 것도 비슷한 점이다.

그러나 다른 점도 많다. 증시의 강세도 그 정도에서 차이점이 있다. 1987년 다우지수는 8월에 최고점을 기록할 때 그 해 들어 43%나 급등할 정도로 숨가쁘게 올라 과열이 우려됐지만 올해 다우지수는 14% 상승하는데 그쳐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주가도 1987년보다 과도하게 고평가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당시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기업의 12개월 주가수익비율(PER)은 20배가 넘었지만 지금은 역대 평균인 16배를 조금 웃돌고 있다.


10년 만기 재무부 채권 수익률을 기준으로 한 이자율도 당시의 10.184%에 비해 지금은 4.685%로 낮고 인플레이션도 완만한 상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실제로 당시와 지금을 비교할 때 가장 크게 다른 점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통화정책이다. 1987년 FRB는 인플레 억제를 위해 금리를 잇따라 올려 신용시장 상황을 빠듯하게 했고 주식보다 채권 투자를 보다 매력적으로 보이게 만들었다.

반면 지금의 FRB는 신용경색이 심각해지기 전까지는 신용시장의 고삐를 느슨하게 하지 않는 정책을 쓰다가 신용경색이 심각해지자 지난달 기준금리를 0.5%포인트 내리고 시장에 유동성 공급에 나섰다.

신문은 이같이 당시와 지금의 상황을 비교해보면 블랙먼데이의 재연 가능성이 낮아 그냥 기억에 머물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찰스 슈왑 증권사의 수석 투자전략가인 리즈 안 손더스는 20년전과 지금의 상황을 비교하면 비슷한 점이 다른 점보다 많지만 이것이 폭락이 재연될 것이라는 점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김현준 특파원 june@yna.co.kr (뉴욕=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