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10.16 20:37 수정 : 2007.10.16 20:39

미국 민주당 대선후보 힐러리 클린턴 상원의원이 15일 뉴욕에서 열린 제7차 엘리너 루즈벨트 유산위원회 연례 오찬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뉴욕/AP 연합

“부시정권 고립시도로 핵실험 초래…사태악화”
집권하면 60일 안 이라크철군 계획 도출 밝혀

미국 여야의 대선 주자 가운데 지지율 선두를 달리는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뉴욕주 상원의원은 북한 핵문제를 대화를 통해 풀겠다는 원칙을 분명히했다. 그는 또 중국의 합의 아래 동북아 안보체제 구축을 제안했다.

힐러리는 외교전문지 <포린어페어스> 11·12월판 기고문에서 조지 부시 정권이 북한과 이란 같은 적성국들과의 대화를 꺼려 사태를 악화시켰다며, 자신이 당선되면 공격적인 외교적 노력을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북한은 자신들을 고립시키려는 부시 정권의 노력에, 핵 프로그램을 가속화하고 핵실험을 했으며 핵무기 수를 늘렸다”며 “국무부가 외교적 노력을 재개한 뒤에야 뒤늦은 사태 진전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힐러리는 중국의 지지가 북한의 핵 무력화 합의 도출에 핵심적이었다는 데 주목해, “우리는 이 틀 위에서 동북아시아 안보체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고문의 핵심은 ‘이라크전 실패가 야기한 미국의 리더십 상실에 대한 반성’과 ‘다자주의 외교의 복원’으로 요약된다. 힐러리는 이런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 이념적 접근을 최대한 지양하고, 국제적 기구들을 최대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힐러리는 당선되면 취임 60일 안에 군 지도부에 이라크 철군 계획을 끌어내도록 명령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라크에서 군사적 공백 대신 외교적·인도주의적 노력을 강화할 것이며, 북부 쿠르드족 지역에 일부 병력을 남겨둘 수 있다고 밝혔다.

힐러리는 또 부시 행정부가 이란과 대화를 거부해, 이란이 핵 프로그램을 진전시킬 시간을 벌어줬다며, 이란에 핵무기 포기에 대한 보상을 해 줄 것을 제안했다. 다만 이란이 협조하지 않으면 “(군사적 행동을 포함한) 모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힐러리는 미국이 러시아와 함께 핵무기를 “대폭적이고 검증 가능할 정도로” 감축해, 전 세계에 강력한 핵무기 억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과 중국의 관계가 “현 세기의 가장 중요한 양자관계”라고 정의하며 급속한 경제 발전을 일구는 중국과 에너지와 환경 분야에서 협의를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아시아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민주주의 국가이자 국력이 성장하는 인도가 특히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오스트레일리아, 인도, 일본과는 테러, 기후변화, 에너지 등에서 협력할 부분이 많다고 덧붙였지만 한국은 언급하지 않았다.

힐러리는 국제노동기구(ILO)의 국제적 노동 기준을 강화하고,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 논의 등에 적극 참여해 책임있는 모습을 보여주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G8’을 본뜬 중국과 인도 등 8대 에너지 소비국 정상의 ‘E8’ 회담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달 초 <워싱턴포스트>와 <에이비시> 방송 공동여론조사에서 힐러리는 공화당 선두주자 루돌프 줄리아니 전 뉴욕시장과 대선에서 맞붙을 경우 51%의 득표율로 줄리아니(43%)를 이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수민 기자 wikka@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