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미국 행정당국에서 보유하고 있는 '비행 금지자' 명단에 수천건의 오류가 있었다는 점을 상기시키며 사법 기관에 광범위한 생체정보 수집권을 부여할 경우 심각한 사생활 침해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다른 비판론자들도 이런 계획이 현실화될 경우 개인들이 지나치게 많은 생체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반면 생체정보 판독 연구를 진행중인 웨스트버지니아대학의 로런스 호너크 박사는 기술이 발전하면 "신상 정보의 절취 행위를 막을 수 있고 결국 개인의 신체 정보를 사람 그 자체처럼 보호하게 될 것"이라고 낙관론을 폈다. (서울=연합뉴스)
|
“FBI, 홍채무늬·상처·문신까지 관리하기로” CNN |
미국 연방수사국(FBI)이 지문은 물론 손바닥과 홍채 무늬, 나아가 상처와 문신까지 관리하는 생체정보의 종합관리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고 CNN이 4일 인터넷판에서 보도했다.
FBI는 치안강화를 이유로 향후 10년간 10억달러가 투입될 이러한 생체정보 구축 계획을 곧 발표할 예정이지만 CNN은 감시 사회로 전락할 수 있다는 인권단체들의 우려가 높다고 전했다.
CNN에 따르면 FBI는 '차세대 신분증명'이라는 이름으로 이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첫 단계로 손바닥 무늬 정보를 이미 수집하고 있다.
또 판독 기술이 충분히 발전됐을 때를 대비해 피부의 상처나 문신 정보를 축적하는 작업에 착수했으며 곧이어 홍채 정보 수집에 나서겠다는 구상이다.
FBI는 이미 5천500만명분의 지문 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미국 웨스트버지니아주의 FBI 생체정보 보관소 책임자인 토머스 부시 국장보는 이 계획의 상당 부분이 생체정보를 판독하는 기술의 발전 속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며 "어떤 종류의 생체정보가 주어지든 그 정보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FBI의 계획에 대해 인권단체들은 사생활 침해 우려를 들어 반발하고 있다.
미국시민자유연맹(ACLU)의 배리 스틴하트 씨는 "모든 사람들의 모든 행동이 언제 어디서든 추적되는 감시 사회의 시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 행정당국에서 보유하고 있는 '비행 금지자' 명단에 수천건의 오류가 있었다는 점을 상기시키며 사법 기관에 광범위한 생체정보 수집권을 부여할 경우 심각한 사생활 침해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다른 비판론자들도 이런 계획이 현실화될 경우 개인들이 지나치게 많은 생체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반면 생체정보 판독 연구를 진행중인 웨스트버지니아대학의 로런스 호너크 박사는 기술이 발전하면 "신상 정보의 절취 행위를 막을 수 있고 결국 개인의 신체 정보를 사람 그 자체처럼 보호하게 될 것"이라고 낙관론을 폈다. (서울=연합뉴스)
그는 미국 행정당국에서 보유하고 있는 '비행 금지자' 명단에 수천건의 오류가 있었다는 점을 상기시키며 사법 기관에 광범위한 생체정보 수집권을 부여할 경우 심각한 사생활 침해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다른 비판론자들도 이런 계획이 현실화될 경우 개인들이 지나치게 많은 생체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반면 생체정보 판독 연구를 진행중인 웨스트버지니아대학의 로런스 호너크 박사는 기술이 발전하면 "신상 정보의 절취 행위를 막을 수 있고 결국 개인의 신체 정보를 사람 그 자체처럼 보호하게 될 것"이라고 낙관론을 폈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