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3.03 14:06 수정 : 2008.03.03 14:24

1943년께 찍은 버지니아주 코리아우체국 모습. 젊은 여자가 앉은 의자 밑쪽에 `KOREA P.O.‘라고 적은 나무 간판이 보인다. 워싱턴/연합뉴스

19세기말 16세 소녀 제안으로 `코리아 우체국' 명명
지금은 `코리아 로드'라는 도로 이름만 남아

미국의 수도인 워싱턴 D.C.인근에 위치한 버지니아주가 100년 넘게 한국의 영어 명칭인 `코리아'라는 이름을 관공서와 도로 이름에 사용해온 것으로 2일 확인됐다.

워싱턴 D.C.에서 남서쪽으로 80마일(128km) 떨어진 버지니아주 컬페퍼 카운티에 가면 파란색 바탕에 흰색글씨로 `KOREA RD(코리아 로드)'라고 도로 이름이 선명하게 새겨져 있다.

도로 인근에 한국 사람이 거주하고 있는 것도 아닌데 이름은 `코리아 로드'다.

이 곳을 지나다가 우연히 혹은 소문을 듣고 일부러 찾아와서 `코리아 로드'를 발견한 한국 사람들은 반가움을 금하지 못한다.

어떻게 한국을 가리키는 고유명사인 `KOREA'가 도로 이름으로 사용되게 된 것일까.

연합뉴스 취재 결과 버지니아주가 이미 109년 전인 1899년부터 `코리아'라는 고유명사를 이름으로 사용해 온 것으로 확인돼 놀라움을 보태고 있다.

지난 1890년대말. 미 우정국은 버지니아에 우체국을 추가로 신설하면서 독특하면서도 마땅한 이름을 찾기 위해 고심하고 있었다.

여기 저기서 몇 가지 이름을 제안받았지만 모두 이미 다른 곳에서 사용하는 이름들이거나 우체국 이름으로는 부적절한 것들이었다.

1947년 5월30일자 `코리아 우체국‘ 소인이 찍힌 편지 봉투. 주소란에 `버지니아 코리아‘라고 마을 이름이 적혀 있다. 워싱턴/연합뉴스

당시 16세 소녀였던 폴레타 맥대니엘은 근래에 신문에서 자주 보았던 한 나라 이름을 떠올렸다. 지구 반대편 동아시아에서 중국과 일본의 '고래 싸움'이라는 복잡한 국제분쟁에 휩싸여있던 `코리아'였다.

폴레타는 신설되는 우체국 이름을 `코리아 우체국'으로 정할 것을 제안했다.

`코리아'는 기억하기 쉽고, 쓰기도 쉬운 데다가 더 중요하게는 버지니아주나 펜실베이니아주 , 이름이 비슷한 버몬트주 등에서 같은 이름을 사용하는 곳이 단 한 곳도 없었다.

그래서 1899년 10월 18일 버지니아주의 작은 농촌마을 가게 옆에 코리아 우체국이 문을 열게 됐다.

코리아 우체국의 초대 국장은 폴레타의 올케인 에이더 M.맥대니얼이 맡았고 뒤이어 폴레타의 오빠 워런이 2대 국장이 됐다.

`코리아 우체국' 덕분에 우체국 주변 마을 이름도 `코리아'가 됐다. 이렇게 `버지니아 코리아'가 탄생한 것이다.

미국의 수도인 워싱턴 D.C.인근에 위치한 버지니아주가 100년 넘게 한국의 영어 명칭인 `코리아‘라는 이름을 관공서와 도로 이름에 사용해온 것으로 2일 확인됐다. 사진은 코리아마을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표지판. 워싱턴/연합뉴스
연합뉴스는 당시 이 마을에서 발송되거나 송달되는 우편물에는 `버지니아 코리아'라고 명기돼 있었음을 이젠 역사적 기록물이 된 편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우체국은 1951년 9월 문을 닫았고, 이제 코리아라는 이름은 컬페퍼 카운티에 3마일(4.8km) 정도 길이의 `코리아 로드'로 남아 있다.

`코리아 우체국'의 마지막 우체국장이었던 줄리아 제임스의 딸인 쥬디 챈들러씨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내가 `코리아 로드'라고 이름을 짓는데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컬페퍼 카운티가 각 도로마다 이름을 붙이는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했을 때 쥬디가 마을의 집집마다 돌면서 `코리아 로드'라는 이름을 붙이자는 청원서에 서명을 받아 이를 관철했던 것.

쥬디는 "`코리아'라는 이름을 쉽게 버릴 수 없었다"고 당시 일을 떠올렸다.

당시 이 곳에 살던 사람들은 `컬페퍼의 한국인'이라고 불렸으며 이런 사실은 지난 1952년 12월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대통령 당선자의 한국 방문에 대한 신문기사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당시 신문기사에 따르면 이 마을 주민 23명은 이승만 대통령에게 전보를 보내 "우리는 아이젠하워 당선자의 한국방문이 한국전쟁을 종식하고 새로운 평화의 시대를 시작하는 것을 돕기를 간절히 기도한다"며 동족상잔의 비극이 빨리 끝나기를 소망했다.

코리아 마을에서 태어난 캐서린 라일리 할머니(94). 워싱턴/연합뉴스
올해 94세인 캐슬린 라일리 할머니는 "나는 버지니아 코리아의 코리아우체국 인근 집에서 태어났다"면서 당시 사람들이 우체국을 드나들고 옆 상점에서 물건들을 샀던 것을 회상했다.

한편, 주미 대사관 권태면 총영사는 "버지니아의 코리아 마을 사람들이 `코리아'라는 이름만 갖고 있을 뿐 한국에 대해 아는 것이 별로 없어 앞으로 코리아 마을과 한인사회가 자매결연을 맺어 다양한 교류사업을 추진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권 총영사는 "오는 5월 말께 `코리아 마을'에 새로운 극장이 개설되는 데 그 때를 맞춰 한국영화를 상영하고 한국 음식을 대접하는 등 한국문화를 소개하는 기회를 가져보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김병수 특파원 bingsoo@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