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인가 고민하라"..정부 지속적 지원 필요
"KAIST가 지금 새롭게 추구하는 분야가 정말 세계 처음인가 분명히 확인하고 가라" 지난 1984년부터 6년간 미국 과학재단(NSF) 총재를 지낸 에리츠 블로츠(74)와 카터 행정부 시절 대통령 과학담당 비서관을 지낸 프랭크 프레스(73)씨 등 미국의 세계적 석학들이 KAIST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우정어린 충고를 던졌다. NSF는 연간 30억달러(30조원)에 달하는 미국의 R&D 예산을 총괄하는 곳이며 대통령 과학담당 비서관은 미국 과학정책을 수립하는 핵심 가운데 핵심이다. 11일 KAIST에 따르면 서남표 총장의 초청을 받아 지난 6일부터 10일까지 KAIST를 방문한 이들은 4박5일 내내 KAIST에만 머물며 KAIST의 연구분야, 학제, 교육환경 등을 꼼꼼히 살폈다. 이들은 지난 10일 KAIST 보직교수 등과 가진 최종 브리핑에서 "KAIST가 지닌 역량과 지금까지의 성과에 비해 해외 등 외부에는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며 "이는 그간의 성과에 대한 통계적인 분석이 미흡한 데다 졸업생들이 사회에서 발전해가는 모습을 추적해 알리는 데 소극적이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한 예로 미국 MIT의 경우 보스턴 은행에서 이 대학 졸업생들이 어떻게 활약하고 있는 지를 정리, 외부로 알려 큰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고 소개했다. 또 "새로운 개혁 정책을 추진하면서 총장 뿐만 아니라 교수조직 등이 같이 공동 보조를 맞춰야만 하며 전혀 예상치 못한 결과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일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특히 "산업과의 연계가 생각보다 많지 않은 것 같다"며 보완을 요구하면서 "새로운 분야가 정말 세계 처음인 지 분명히 확인하고 왜 세계 최초인 지 확실하게 인정받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또한 "미국의 성장 동력은 우수한 이민자들로부터 찾았고 이들로 인해 중요한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며 "다양한 인종의 교수, 학생 들을 외부로부터 받아들여한다"고 충고했다. 이를 위해서는 "연구 결과나 특허 등 우수한 성과들을 해외의 저널 등에 게재하는 등 세계 사람들에게 적극적으로 소개해야하며 세계적인 석학들을 초청해 정보를 교환하고 학문적 자극도 받아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블로츠 전 총재는 "테뉴어 강화, 영어 강의, 인터뷰 중심의 입시 전형, 학과장 중심의 시스템 개편 등은 너무나 상식적인 일로 오히려 늦은감이 있다"며 "테뉴어 제도가 없다면 누가 개혁적이고 생산적인 교육에 나서겠는가"라고 말했다. 프레스 미 대통령 과학담당 전 비서관은 "KAIST `KI(KAIST Institute)'를 통해 다학제전공간 연구를 통해 10년후에 일어날 일들을 연구하고 있는 데 깊은 인상을 받았다"며 "지속적인 과학발전을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의 지속적인 지원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하버드 대학 역시 연구 예산의 50% 이상을 정부로부터 지원받고 있으며 정부의 지원이 없었더라면 지금의 하버드는 없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KAIST 임용택 대외협력처장은 "서남표 총장이 NSF 부총재로 있을 때 맺은 교분 등으로 초청돼 여느 전문 평가기관 못지 않은 엄격한 평가를 받았다"며 "학교가 추진해온 그동안의 발전 정책을 되돌아보고 향후 발전 계획을 수립하는 귀중한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전=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