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8.07.01 20:52
수정 : 2008.07.01 20:52
NYT “5대 석유사-이라크 석유청 입찰 개입”
미국 정부가 이라크 정부와 서방 석유재벌 사이의 유전개발 계약을 결정짓는 과정에서 사실상 ‘수렴청정’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미국과 영국이 석유를 뺏으러 이라크를 침공했다’는 이라크전 비판론자들의 주장이 더욱 힘을 받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1일 미 국무부 관리가 이끄는 미국 국적의 고문단이 이라크 석유청이 5대 석유회사와 단기 계약서를 작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신문은 비공개 입찰을 통해 선정된 엑손모빌, 셸, 토탈, 비피, 셰브론 5개 사가 이라크 정부와 계약을 맺고 주요 유전의 생산량을 일일 250만배럴에서 300만배럴로 늘리는 사업에 참여하는 특혜를 받게 될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그러나 이라크 정부 대변인 알리 알 다바그는 30일 “그 누구에게도 특혜는 없다”며 미국이 석유 관련 결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의혹을 부인했다.
후세인 알 샤리스타니 이라크 석유청장은 이날 이와 별도로 이라크의 대형 유전 6곳과 가스관 2곳의 장기 개발권이 국제 시장에서 공개 입찰에 부쳐진다고 발표하며, “막대한 매장량이 개발될 경우 이라크는 세계 2~3위 석유 생산국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라크는 2013년까지 생산량을 450만배럴로 올린다는 계획이다. 샤리스타니는 또 “우리의 석유를 다른 이들과 공유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며 유전 장기 개발에 참여하는 외국 기업들은 지분이 아닌 현금으로 보상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30여년 전 사담 후세인 시절 국유화된 이라크의 석유 산업에는 그동안 외국 자본의 참여가 제한돼 왔다. 이라크의 추정 매장량은 1150억배럴로,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에 이은 세계 3위 규모다.
줄리언 리 런던 국제에너지연구소 선임연구원은 현재 이라크 상황이 다국적 기업들이 이권 다툼에 무한 경쟁을 벌이던 1990년대 초의 러시아와 비슷하다며, “주요 (석유)기업 입장에서는 (이라크가) 아무리 위험하더라도 경쟁에 참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서수민 기자
wikka@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