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10.26 13:21 수정 : 2008.10.26 13:21

미 민주당 대선후보 지지로 돌아선 보수파들 일컬어
파월 전 국무장관, 네오콘 이론가 후쿠야마 교수 등

"네오콘의 시대는 가고, 이제 오바마콘의 시대가 오고 있다."

대선을 10여일 앞두고 미국에서 공화당에 실망을 느끼고 버락 오바마 민주당 대선 후보 지지로 돌아서는 보수파 인사들, 일명 '오바마콘(Obamacons)'이 새로이 부상하고 있다고 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 25일자 최신호가 보도했다.

오바마콘 군단의 최고 거물은 지난 19일 오바마 의원을 "전환기의 인물"이라고 칭찬하며 지지를 선언한 콜린 파월 전 국무장관이다. 파월은 조지 부시 행정부에서 미국 역사상 최초의 흑인 국무장관을 지낸 인물이다.

오바마콘의 또 다른 거물급 인사로는 공화당 출신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전 대통령의 손녀 수전 아이젠하워, "내가 공화당을 버린 게 아니라 공화당이 나를 버렸다"고 말한 언론인 크리스토퍼 버클리, 척 헤이글 공화당 상원의원, 네오콘 이론가였던 프랜시스 후쿠야마 미국 존스홉킨스대 교수, 케네스 에덜먼 국방정책위원 등을 꼽을 수 있다.

오바마콘의 부상은 큰 정부를 지향하고, 끝없이 '테러와의 전쟁'을 옹호하고, 인권을 무시하는 부시 대통령의 공화당 정책에 대한 실망감과 존 매케인 공화당 대통령 후보와 새라 페일린 부통령 후보에 대한 절망감에서 나온 반작용 이상이라고 이코노미스트는 지적했다.

이들 보수파 인사들에게 오바마 의원은 실용주의, 충분한 역량, 감정보다 이성에 대한 존중 같은 공화당이 버린 유산들을 구현하는 인물로 간주되고 있다고 이코노미스트는 말했다.

월스트리트에서 금융시장이 요동칠 때 오바마 의원의 반응은 침착하고 냉정한 데 비해 매케인 의원은 허세를 부림으로써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는 것이다. 또한, 오바마 의원 발언 중 상당 부분은 레이건과 비슷하다고 할 정도로 보수적인 데가 있다. 오바마 의원은 개인의 책임감과 가족의 가치를 역설하고, 또 실천하고 있다.

오바마콘의 부상은 공화당 고위층의 깊은 분열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여론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중요하며, 여기에 맞물려 보수 유권자인 가톨릭층과 백인노동자층의 표도 점점 오바마 쪽으로 기울고 있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진단했다.


김진형 특파원 kjh@yna.co.kr (런던=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