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8.11.04 19:09
수정 : 2008.11.04 19:09
야권 “MB정책 변화 불가피”
여권 “한미관계 변화없을 것”
이대통령 6일 축하전화할 듯
버락 오바마 민주당 후보의 당선이 유력한 가운데 미국 대선 투표가 시작된 4일 정치권은 미 대선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청와대와 한나라당은 “오바마 후보가 당선돼도 한-미 공조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강조한 반면, 민주당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과 경제정책 등의 변화를 주문했다.
청와대는 당선자 쪽과 접촉선 넓히기에 힘을 쏟고 있다. 이동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명박 대통령은 미국 대선 진행 상황 등에 관해 충분한 보고를 받았고, 실무선에서도 당선자에 축전 발송 등 다양한 (후속)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미국 대선 다음날인 5일(현지 시각)께 당선자와 축하 전화를 통해 첫 접촉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청와대 관계자들이 전했다.
청와대는 내년 상반기에 이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해 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메케인 공화당 후보의 역전 가능성에 은근한 기대를 걸었던 한나라당은 ‘대세’를 받아들이는 한편 한-미 관계에 별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윤상현 대변인은 <한겨레>와 통화에서 “일부 언론이 우려하듯 ‘오바마 인맥’만으로 미국의 대 한반도 정책이 급속히 변화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남경필 의원은 이날 국회 대정부 질문을 통해 “오바마 정부가 들어서면 이명박 정부의 대북노선과 엇박자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민주당은 한반도 정세와 관련한 한국의 소외를 우려하며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 변화를 요구했다. 안희정 최고위원은 “이명박 정부의 대북 상호주의와 압박 정책이 수정되는 데 영향을 주지 않을까 싶다”고 기대섞인 전망을 내놨다. 강기정 의원은 “미국이 보호무역주의를 더욱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일 수 있다”며 “이 경우 완전히 시장주의로 가는 이명박 정부의 경제 정책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준범 신승근 이지은 기자
jaybe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