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가 제44대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하기까지는 아직 70여일 남아 있다. 오바마는 이날 이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북핵 문제와 경제위기사태 해결을 위해 협력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오바마는 케빈 루드 호주 총리와는 국제금융위기 및 기후변화에 맞서 적극 협력하기로, 앙겔라 메르켈 독일총리와는 이란 핵문제 및 아프간사태.금융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힘을 모으기로 합의했다. 또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 고든 브라운 영국총리, 아소 타로 일본 총리 등과의 통화에선 국제금융체제 개혁문제가 심도깊게 논의됐다고 각 국 정부가 밝혔다. 특히 이날 주요국 정상들과의 전화통화는 오바마 당선인이 7일 경제대책회의를 소집, 지난 1930년대 대공황 이후 최악의 위기에 직면한 미국 경제를 살릴 대책을 발표하기에 앞서 이뤄졌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냉전붕괴 이후 세계 유일의 `수퍼파워'인 미국이 조지 부시 행정부 시절의 `일방외교'에서 벗어나 세계 주요 국가들과 협력하고 상생하는 외교를 펼쳐 나갈 것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워싱턴=연합뉴스)
|
|
오바마 ‘전화외교’로 국제무대 첫 선 |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당선된 지 이틀만에 전화기를 붙잡고 국제무대에 신고식을 가졌다.
오바마 당선인은 6일 시카고에서 이명박 대통령을 비롯해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캐나다, 호주 등 9개 주요국 정상들과 전화통화를 갖고 경제위기대책을 비롯해 북한과 이란의 핵개발, 아프가니스탄 사태, 기후변화 등 국제이슈에 대해 논의했다.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지만 미국에서 취임도 안한 대통령 당선인이 당선되자마자 세계 주요국 지도자들과 국제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누며 대책을 논의한 것은 아주 이례적인 일이다.
물론 이날 전화통화는 각국 정상들이 오바마에게 당선을 축하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인사에 그치지 않고 현안에 대한 논의까지 들어간 것은 그만큼 사태가 긴박하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동시에 앞으로 미국을 떠맡을 오바마가 경제위기 등 당면한 문제의 `해결사'로 적극 나서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분석된다.
오바마가 제44대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하기까지는 아직 70여일 남아 있다. 오바마는 이날 이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북핵 문제와 경제위기사태 해결을 위해 협력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오바마는 케빈 루드 호주 총리와는 국제금융위기 및 기후변화에 맞서 적극 협력하기로, 앙겔라 메르켈 독일총리와는 이란 핵문제 및 아프간사태.금융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힘을 모으기로 합의했다. 또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 고든 브라운 영국총리, 아소 타로 일본 총리 등과의 통화에선 국제금융체제 개혁문제가 심도깊게 논의됐다고 각 국 정부가 밝혔다. 특히 이날 주요국 정상들과의 전화통화는 오바마 당선인이 7일 경제대책회의를 소집, 지난 1930년대 대공황 이후 최악의 위기에 직면한 미국 경제를 살릴 대책을 발표하기에 앞서 이뤄졌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냉전붕괴 이후 세계 유일의 `수퍼파워'인 미국이 조지 부시 행정부 시절의 `일방외교'에서 벗어나 세계 주요 국가들과 협력하고 상생하는 외교를 펼쳐 나갈 것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워싱턴=연합뉴스)
오바마가 제44대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하기까지는 아직 70여일 남아 있다. 오바마는 이날 이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북핵 문제와 경제위기사태 해결을 위해 협력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오바마는 케빈 루드 호주 총리와는 국제금융위기 및 기후변화에 맞서 적극 협력하기로, 앙겔라 메르켈 독일총리와는 이란 핵문제 및 아프간사태.금융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힘을 모으기로 합의했다. 또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 고든 브라운 영국총리, 아소 타로 일본 총리 등과의 통화에선 국제금융체제 개혁문제가 심도깊게 논의됐다고 각 국 정부가 밝혔다. 특히 이날 주요국 정상들과의 전화통화는 오바마 당선인이 7일 경제대책회의를 소집, 지난 1930년대 대공황 이후 최악의 위기에 직면한 미국 경제를 살릴 대책을 발표하기에 앞서 이뤄졌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냉전붕괴 이후 세계 유일의 `수퍼파워'인 미국이 조지 부시 행정부 시절의 `일방외교'에서 벗어나 세계 주요 국가들과 협력하고 상생하는 외교를 펼쳐 나갈 것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워싱턴=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