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바마스코프(obamascope) : 오바마에 대한 언론의 정밀 검증. '현미경(microscope)'을 사용해 들여다 보듯 검증한다는 뜻. ▲ 오바마네이터(obamanator) : 오바마를 블록버스터 영화의 주인공인 '터미네이터(Terminator)'에 비유한 것. 이 영화의 주인공이었던 아널드 슈워제네거 미 캘리포니아 주지사(공화)가 선거 유세 과정에서 오바마의 '마른 다리'와 '앙상한 팔'을 조롱하자 나온 말이다. ▲ 오바마리시우스(obamalicious) : 오바마의 외모에 감탄한 사람들이 다른 사람의 외모를 칭찬할 때 쓰는 말. ▲ 오바마로하(Obamaloha) : '안녕히(goodbye)'라는 뜻. 오바마의 출생지가 하와이인 것을 감안해 하와이의 인사말인 '알로하(aloha)'를 덧붙인 것. ▲ 오-바마(oh-bama) : 즐거울 때 외치는 감탄사. 신문의 헤드라인에도 많이 쓰였다. ▲ 바멜롯(bamelot) : 오바마가 대통령직에 오른 것을 일컬은 것. 미국 일간 뉴욕 포스트가 헤드라인에 사용한 것으로,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이 '카멜롯(camelot)'이라 불렸던 것에 착안한 것이다. ▲ 오바메리카(obamerica) : 크로아티아 신문인 '슬로보드나 달마치야'가 뽑은 기사 제목. 오바마와 '미국(America)'을 합성한 것. ▲ 버락스타(barackstar) : '오바마는 정치계의 믹 재거(영국의 전설적 록밴드 '롤링스톤스'의 리드 싱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용어. 연합뉴스
|
|
‘오바마루야’ ‘버락스타’ 오바마 신조어 인기 |
232년 미국 역사상 첫 흑인 대통령이라는 기록을 세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당선인에 대한 인기가 치솟으면서 웹사이트나 블로그 같은 사이버 공간에서는 물론, 신문 지면에도 오바마와 관련된 각종 신조어가 쏟아지고 있다.
다음은 각종 웹사이트와 블로그, 언론 보도에서 나온 오바마 관련 신조어들.
▲ 오바마포리아(obamaphoria) : 전 세계의 오바마 지지자들이 오바마의 당선으로 느낀 환희. 오바마의 이름과 '도취감.행복감'을 의미하는 영단어 'euphoria'를 합성한 것.
▲ 오바마네이션(obamanation) : 오바마에 대한 복음주의 기독교인, 보수층의 혐오를 의미. '혐오'를 뜻하는 'abomination'의 뒷부분을 차용해 만든 것.
▲ 오바마노스(obamanos) : "우리 함께 가자"는 뜻의 스페인어 '바모노스(vamonos)'를 활용해 만든 단어로, "오바마와 함께 앞으로 나가자"는 뜻.
▲ 오바마토피아(obamatopia) : 오바마의 열렬한 지지자들이 꿈꾸는 '오바마가 열어갈 미래'. '오바마'와 '유토피아(utopia)'를 합성한 것.
▲ 오바마루야(obamalujah) : 오바마의 팬들이 외치는 감탄사. '할렐루야'를 차용한 것.
▲ 오바마트론(obamatrons) : 오바마가 이끌 차기 행정부에서 정책 입안을 담당할 일꾼들. '보호자, 후원자'등의 의미를 지닌 'patron'과 합성한 것.
▲ 오바마스코프(obamascope) : 오바마에 대한 언론의 정밀 검증. '현미경(microscope)'을 사용해 들여다 보듯 검증한다는 뜻. ▲ 오바마네이터(obamanator) : 오바마를 블록버스터 영화의 주인공인 '터미네이터(Terminator)'에 비유한 것. 이 영화의 주인공이었던 아널드 슈워제네거 미 캘리포니아 주지사(공화)가 선거 유세 과정에서 오바마의 '마른 다리'와 '앙상한 팔'을 조롱하자 나온 말이다. ▲ 오바마리시우스(obamalicious) : 오바마의 외모에 감탄한 사람들이 다른 사람의 외모를 칭찬할 때 쓰는 말. ▲ 오바마로하(Obamaloha) : '안녕히(goodbye)'라는 뜻. 오바마의 출생지가 하와이인 것을 감안해 하와이의 인사말인 '알로하(aloha)'를 덧붙인 것. ▲ 오-바마(oh-bama) : 즐거울 때 외치는 감탄사. 신문의 헤드라인에도 많이 쓰였다. ▲ 바멜롯(bamelot) : 오바마가 대통령직에 오른 것을 일컬은 것. 미국 일간 뉴욕 포스트가 헤드라인에 사용한 것으로,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이 '카멜롯(camelot)'이라 불렸던 것에 착안한 것이다. ▲ 오바메리카(obamerica) : 크로아티아 신문인 '슬로보드나 달마치야'가 뽑은 기사 제목. 오바마와 '미국(America)'을 합성한 것. ▲ 버락스타(barackstar) : '오바마는 정치계의 믹 재거(영국의 전설적 록밴드 '롤링스톤스'의 리드 싱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용어. 연합뉴스
▲ 오바마스코프(obamascope) : 오바마에 대한 언론의 정밀 검증. '현미경(microscope)'을 사용해 들여다 보듯 검증한다는 뜻. ▲ 오바마네이터(obamanator) : 오바마를 블록버스터 영화의 주인공인 '터미네이터(Terminator)'에 비유한 것. 이 영화의 주인공이었던 아널드 슈워제네거 미 캘리포니아 주지사(공화)가 선거 유세 과정에서 오바마의 '마른 다리'와 '앙상한 팔'을 조롱하자 나온 말이다. ▲ 오바마리시우스(obamalicious) : 오바마의 외모에 감탄한 사람들이 다른 사람의 외모를 칭찬할 때 쓰는 말. ▲ 오바마로하(Obamaloha) : '안녕히(goodbye)'라는 뜻. 오바마의 출생지가 하와이인 것을 감안해 하와이의 인사말인 '알로하(aloha)'를 덧붙인 것. ▲ 오-바마(oh-bama) : 즐거울 때 외치는 감탄사. 신문의 헤드라인에도 많이 쓰였다. ▲ 바멜롯(bamelot) : 오바마가 대통령직에 오른 것을 일컬은 것. 미국 일간 뉴욕 포스트가 헤드라인에 사용한 것으로,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이 '카멜롯(camelot)'이라 불렸던 것에 착안한 것이다. ▲ 오바메리카(obamerica) : 크로아티아 신문인 '슬로보드나 달마치야'가 뽑은 기사 제목. 오바마와 '미국(America)'을 합성한 것. ▲ 버락스타(barackstar) : '오바마는 정치계의 믹 재거(영국의 전설적 록밴드 '롤링스톤스'의 리드 싱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용어. 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