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11.26 02:18 수정 : 2008.11.26 02:18

합병.분할매각 등 중대조치 압력 고조
지급보증으로 은행업계 모럴해저드 초래 비난도

"이는 일시적인 집행유예에 불과할 뿐 완전한 사면이 아니다"

지난 24일 미 정부가 위기에 처한 씨티그룹에 200억달러의 자금을 투입하고 부실자산에 대해 3천60억달러까지 지급을 보증하는 구제방안에 합의함에 따라 폭락하던 씨티의 주가는 급반등했고 시장에서도 "씨티가 한숨 돌렸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나왔다.

하지만 씨티그룹의 위기는 끝나지 않았다.

시장에서의 이미지 타격과 고객 이탈 가능성 등 향후 영업 전망을 감안하면 이번 정부의 구제조치 이후에도 경영진 쇄신이나 회사 사업부문의 분할 매각, 합병 등을 포함한 중대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또 정부가 부실자산에 지급보증을 해주기로 함에 따라 씨티와 경쟁관계에 있는 다른 대형 은행들도 똑같은 방식으로 부실자산 처리를 정부에 의존하게 될 것이라는 비난도 제기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5일(현지시간) 씨티그룹에 대한 정부의 구제조치로 인해 주가 급락은 막았지만, 회사를 안정시키기 위한 경영진의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는 압력은 고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씨티의 경영진도 지난 주말 협상에서 정부가 씨티에 대해 위험자산을 줄이고 회사의 분할 가능성을 포함한 근본적인 조치를 고려할 것을 기대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시인했다.

씨티의 최고재무책임자(CFO)인 개리 크리텐든은 현재 검토되고 있는 시나리오에 대해서는 상세한 언급을 회피한 채 씨티그룹이 회사의 광범위한 사업영역에 대한 선입견이 없으며, 현재 (사업영역의)구성부분들은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신문은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씨티의 경영진들이 이미 다른 금융회사와의 합병이나 주요 사업부분의 매각 가능성을 논의해 왔다고 전했다.

씨티는 부실자산에 대해 정부의 지급보증을 받게 됐지만 회수불능 여신이 급증하는 신용카드 사업부문은 지급보증 대상에서 제외돼 있다. 연체가 늘어만 가는 해외여신 사업부문도 미국 정부의 지급보증 대상이 아니다.

향후 고객 이탈 가능성도 경영진의 결단이 시급한 이유 중 하나다. 지난 주말까지 씨티의 PB(프라이빗뱅킹)부문을 이용하는 부유층 고객을 포함한 일부 고객들이 주거래 은행을 바꾼 것으로 나타났고 경영진과 정부 관리들은 고객들의 대거 이탈 가능성을 우려하기 시작했다.

이와 관련해 뉴욕타임스(NYT)는 씨티그룹에 대한 한번의 구제금융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다른 대형 은행들에 대해서도 충분치 않을지도 모른다면서 장기적인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이번 씨티에 대한 정부의 지급보증 때문에 다른 은행들도 결국 적자가 커지면 손실을 흡수해주도록 정부에 의존하게 될 것이라면서 결국 납세자들은 수천억달러에 달하는 은행의 부실자산에 대해 지급보증만 서주다가 끝나버릴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조치는 결국 은행들이 위험에 빠지면 정부가 개입해줄 것이란 믿음 속에 더 많은 위험을 감수하도록 독려함으로써 정부는 물론 납세자들에게 더 큰 부담을 지우는 셈이라는 것이다.

오펜하이머의 애널리스트인 머레디스 휘트니는 "모두가 똑같은 곤경에 처해 있다"면서 "씨티그룹은 문제의 주역이지만 씨티의 부실자산은 경쟁업체와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김지훈 특파원 hoonkim@yna.co.kr (뉴욕=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