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12.08 19:18 수정 : 2008.12.08 21:48

미 상원 ‘구제 대가’로 교체 요구
오바마 “물러나야”…GM “반대”

제너럴모터스(지엠) 등 파산 위기의 미국 3대 자동차업체에 구제금융을 지원하는 조건으로 릭 왜거너 지엠 회장의 경질과 정부 차원의 관리감독기구 설치 등이 논의되고 있다.

크리스토퍼 도드 상원 금융위원장은 7일(현지시각) “지엠이 최악의 상태에 있다”며 “새 지도자를 고려해야 한다. (왜거너 회장이) 자리를 옮겨야 한다”고 말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 당선자도 거들었다. 그는 “현 경영진이 다급한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뜻이 없다면 물러나야 한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프레드릭 헨더슨 지엠 최고운영책임자(COO), 카를로스 곤 닛산 최고경영자, 잭 웰치 지이(GE) 최고경영자 등이 후임으로 거론된다고 8일 전했다. 지엠 쪽은 “왜거너 회장이 현 위기상황을 이끌어 나갈 최고 적임자라고 생각한다”며 사임에 반대했다. 왜거너 회장은 지엠의 주식이 폭락했던 2000년부터 최고경영자를 맡아왔다. 크라이슬러와 포드 최고경영자는 경영을 맡은 지 얼마 되지 않아 사퇴 압력이 적은 편이다.

지엠 회장 사퇴 압박의 카드인 150억달러의 긴급자금 지원 관련 법안을 놓고 민주당과 백악관은 7일 최종 조율을 벌였다. 고효율 에너지 개발비로 책정된 250억달러 가운데 일부를 전용해서, 이르면 오는 15일부터 지원할 계획이다. 대출 조건은 금융기관 구제금융과 마찬가지로, 첫 다섯 해 동안 연리 5%, 이후 9%의 금리다. 대출을 갚기 전에는 배당금이나 최고 경영진 보너스 지급을 할 수 없고, 2500만달러 이상의 자금거래는 보고해야 한다.

관리감독기구 설치도 논의 중이다. 민주당은 재무장관 등 장관 5명이 참여하는 감독기구를 만든다는 구상이다. 백악관은 상무부 안에 자동차산업 지원을 총괄할 고문을 임명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이르면 9일 법안이 의회 표결에 부쳐질 것이라고 <워싱턴 포스트>가 전했다.

자동차업계 지원 법안이 마련돼도 의회에서 통과된다는 보장은 없다. 외국 자동차업체의 현지공장이 있는 앨라배마주의 리처드 셸비 상원의원(공화) 등이 법안 처리에 반대하고 있다. 올해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폴 크루그먼 프린스턴대 교수는 “미국 자동차회사는 결국 사라질 것”이라며, 구제금융 지원은 “심각한 경기침체 상황에서 대형 산업의 붕괴를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순배 기자 marcos@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