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8.12.12 19:02
수정 : 2008.12.13 01:30
|
|
자동차 ‘빅3’ 운명은… 크리스토퍼 도드 미국 상원 금융위원장(민주당)이 11일 워싱턴 의사당에서 3대 자동차 회사에 대한 140억달러의 구제금융 지원안이 상원에서 거부된 뒤 난감한 표정으로 어디론가 전화를 걸고 있다. 워싱턴/AP 연합
|
지엠, 파산보호 신청 검토 시작
‘빅3’ 노조, 임금삭감 요구 수용안해…아시아 증시 폭락
미국 자동차업계 구제법안이 상원 문턱을 넘지 못했다. 그 여파로 코스피 지수가 상승 닷새 만에 50이나 떨어지는 등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증시가 폭락하는 등 글로벌 경제 후폭풍이 우려되고 있다.
미국 상원의 민주·공화 양당은 11일 밤(현지시각) 공화당 쪽이 민주당과 백악관의 합의 법안에 반대해 내놓은 수정안을 놓고 협상을 벌였으나 최종 심의과정에서 결렬됐다. 공화당 쪽은 제너럴모터스(GM), 크라이슬러, 포드 등 3대 자동차회사(빅3)의 내년 임금을 미국내 외국 자동차 업체와 같은 수준으로 낮출 것을 요구했으나, 미국자동차노조(UAW)가 2011년까지는 수용할 수 없다는 태도를 고수했다. 두 당은 이날 밤 9시께 상정 여부를 놓고 투표에 들어갔으나 찬성 52 대 반대 35로, 통과에 필요한 60표 확보에 실패했다. 민주당 원내대표인 해리 리드 의원은 “법안의 무산은 미국에 큰 손실을 가져올 것”이라며 “내일 월가를 보기가 겁이 난다”고 말했다.
지엠은 이날 성명을 발표해 “법안 부결은 심히 유감”이라며 “이달 말까지 정부 지원이 없으면 정상운영이 어렵다”고 밝혔다. 지엠은 파산 전문 변호인단을 고용해 파산보호 신청을 검토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자동차노조는 일본·한국 자동차 업체의 공장을 유치한 남부 지역 상원의원들을 비난하고, 정치권의 조속한 구제금융 실시를 촉구했다. 론 게텔핑거 위원장은 “상원에서 구제금융이 통과되지 못했다 해도, 해결책은 워싱턴 정가에서 나올 것으로 자신한다”고 말했다.
경제계에는 지엠의 몰락이 산업계 전반의 위기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가 팽배해 있다. 이 경우 빅3가 고용하고 있는 25만명과 부품업체 직원 73만명 등이 직접 일자리를 잃고, 나아가 자동차와 연계된 다른 부문에까지 영향을 끼쳐 내년에 미국 내 일자리가 300만개 가까이 줄어들 수 있다고 <에이피>가 보도했다.
이튿날 아침 일찍부터 백악관은 상원의 결정을 비판하고, 이미 의회를 통과한 금융권 부실자산 구제금융(TARP) 7천억달러의 일부를 자동차업계를 위해 쓰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밝혀 시장의 동요를 미리 차단하는 모습을 보였다.
12일 뉴욕 증시는 개장 초기 1~2% 떨어져, 아시아 증시나 유럽 증시에 견줘 상대적으로 적은 낙폭을 기록했다. 일본 닛케이평균주가는 전날보다 5.56%, 홍콩의 항셍지수는 6.9%, 코스피는 4.38% 하락하는 등 아시아 증시는 폭락세를 보였다. 특히 자동차업체의 낙폭이 커 현대차는 전날보다 9.29% 하락한 4만3000원에, 도요타는 10.10% 떨어진 2760엔, 혼다는 12.48% 빠진 1912엔에 장을 마감했다. 환율시장에도 악영향을 주어 원-달러 환율이 달러당 14원 오른 1372.5원에 거래를 마쳤다. 유럽 증시는 이날 유럽연합 정상들이 공동 경기부양책 마련에 합의했다는 낭보가 있었음에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FTSE) 지수가 2.78%, 독일 닥스(DAX) 지수가 2.52% 떨어지는 등 하락을 면치 못했다.
이근영 안창현 기자
kyle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