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9.01.11 21:32
수정 : 2009.01.11 21:32
미, 경제분석가 50명 전망…“내년에야 정상 복귀”
오바마 “경기부양책 실시 일자리 410만개 창출”
2007년 말 시작된 미국의 경기후퇴는 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오래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 경제조사기관인 블루칩이코노믹인디케이터가 투자회사, 대기업, 학계의 경제분석가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대다수 전문가들이 올해 말 미미한 경기회복세가 시작돼 내년에야 정상적인 수준으로 복귀할 것으로 전망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10일 보도했다. 응답자의 다수는 이번 경기후퇴가 올해 3분기에야 공식적으로 끝나 2차 대전 이후 가장 긴 경기후퇴로 기록될 것이라고 답변했다. 지금까지 2차 대전 이후 가장 긴 경기후퇴기는 1980년 1월에 시작해 22개월 동안 지속한 뒤 1982년 11월에 끝난 경기후퇴였다.
그러나 응답자의 절반 이상은 실업률이 계속 증가해 2010년이 돼야 정점을 지날 것이어서 경기후퇴가 공식적으로 끝난 뒤에도 고통은 상당기간 계속될 것이라는 의견을 보였다. 2009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1.6%로 예측돼, 한달 전 -1.1% 전망치보다 더 하락했다. 다만, 달러 가치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일부 전문가들은 재정적자의 급증으로 올해 달러가치가 급락할 우려가 있다고 본 반면, 절반 가까운 전문가들은 달러화의 무역가중환산가치는 올해말에 현재보다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전문가들이 추산한 차기 정부의 경기부양책 규모는 평균 7780억달러로, 버락 오바마 대통령 당선자가 제시하고 있는 7750억달러와 거의 일치했다.
한편, 오바마 당선자는 이날 감세와 재정 지출을 통한 경기부양책이 최대 41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라디오 주례 연설에서 밝혔다. 이런 규모는 유세 당시 공약했던 일자리 100만자리, 대통령 당선 뒤 발표한 300만자리보다 늘어난 것으로, 최근 의회 등에서 제기되는 경기부양책에 대한 비판을 의식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오바마 당선자는 “의회가 경기부양책을 승인하지 않으면 경기후퇴 기간에 300만~400만개의 일자리가 추가로 사라질 것이고, 지금의 실업률은 2014년까지도 계속될 것”이라고 말해 의회를 압박했다.
그러나 공화당은 물론 민주당 일부조차 인수위 쪽 경기부양책 자금의 상당부분이 감세로 충당되도록 돼 있어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된다고 주장해 오바마 진영을 당혹스럽게 하고 있다. 공화당 쪽은 “노동자층의 감세는 저가의 수입상품을 구매하는 데 쓰여 나라 경제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며 “주정부와 지방정부들은 오바마 식 경기부양보다는 직접적인 사회간접자본 투자를 바라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 프린스턴대 교수도 9일 <뉴욕타임스> 기고문에서 “오바마 부양책은 60%는 공공지출로, 나머지는 감세로 구성돼 있다”며 “많은 경제전문가들은 기업에 대한 세금감면 등이 과연 소비를 진작시키는 데 실제 효과가 있을지 의문을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근영 기자
kyle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