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1.23 18:43 수정 : 2009.01.23 18:43

하원 테러방지위원장 ‘대화 실패땐 군사적 압박’ 주장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단호한 직접 외교’를 통한 북한의 비핵화를 대북정책으로 공식 채택한 가운데, 이것이 성공하려면 힘을 바탕으로 한 외교를 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2일(현지시각) 열린 미국 하원 군사위원회의 ‘대량살상무기(WMD) 확산 및 테러 방지’에 관한 청문회에서 보브 그레이엄 대량살상무기 확산 및 테러방지위원회 위원장은 “북한과 이란의 핵무기 획득이 핵확산금지조약(NPT) 체제로는 해결할 수 없는 일련의 핵 확산에 방아쇠를 당길 수 있다”고 경고한 뒤, “미국은 다른 나라들과 함께 두 나라가 핵을 포기할 경우 받게 될 인센티브와 이를 거부할 경우 어떤 불이익을 받게 되는지 종합적인 ‘조합’을 만들어 제시하고 두 나라가 핵무기와 관련된 모든 노력을 영원히 중단하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이런 정책은 힘을 바탕으로 추진돼야 한다”며, 대화에 역점을 둔 오바마 정부의 직접 외교가 실패할 경우 두 나라에 군사적 대응이라는 직접적 조처가 뒤따를 것이라는 위협을 느낄 수 있도록 후속 대책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청문회에서 아이크 스켈턴 하원 군사위원회 위원장도 “지난 8년 동안 북한은 핵무기 실험을 실시하고 핵 관련 군사장비들을 확대했으며, 이란은 핵무기를 제조할 수 있는 능력을 빠르게 개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