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미국 정부가 집행·약속한 구제금융
|
뉴욕타임스 “일부 대형은행 이미 지급불능 상태” 미국 재무부 등이 23일 공동 성명을 내고, 주요 은행의 국유화 가능성을 다시 부인했다. 재무부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등 5개 감독기관은 이날 “금융기관이 민간 소유로 남아 있어야 한다는 확고한 전제에 따라 추가 지원이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금융기관들이 민간 분야에서 잘 운영되어야 우리 경제가 더 잘 돌아간다”며 주요 은행의 국유화 가능성을 부인했다. 하루 전에는 백악관이 이런 가능성을 부인했다. 또 이날 성명은 미국 정부가 주요 은행에 확보한 우선주를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보통주로 전환하더라도, “은행의 건실한 재정 유지를 위해 꼭 필요하고, 재정상황이 호전된 뒤 회수가 가능할 때만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미국 정부가 적극 진화에 나선 것은 거대 상업은행들의 국유화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이들 은행이 ‘2차 세계 금융대란’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가 25일부터 은행 자산건전성 평가(스트레스 테스트)에 착수하면서 시장의 불안은 한층 깊어질 전망이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22일 “미국 정부가 씨티그룹의 보통주를 40%까지 확보하는 방안을 놓고 양쪽 사이에 협상이 진행중”이라고 전했다. 연방정부가 지난해 10월 이후 씨티에 450억달러의 자본금을 투입해 확보한 우선주의 7.8%를 보통주로 전환한다는 내용이다. 미국 최대 은행인 씨티그룹과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주가는 국유화설로 지난주 40% 정도 폭락했다.
미국 재무부가 25일부터 자산 1천억달러 이상의 20개 대형 은행을 대상으로 벌이는 자산건전성 평가 작업도 불안 요인이다. 몇주 이상 걸릴 자산건전성 평가의 뚜껑이 열리기 전까지 금융주를 둘러싼 불안은 해소되기 어렵다. 은행들의 추가 부실이 가시화하거나, 불안을 느낀 고객들이 최악의 경우 예금을 빼내는 사태마저 현실화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또다시 미국 금융시장 너머 전세계로 ‘패닉’(공황상태)이 빠르게 전파될 수 있다. 류이근 기자 ryuyigeun@hani.co.kr
발트3국 외환보유고 바닥…폴란드·체코 등도 휘청
유럽 정상들 “5천억달러 조성” 각국에 공조 요청 동유럽의 외환보유고가 점점 바닥을 드러내며, 동유럽발 ‘2차 세계 금융위기’ 공포가 커지고 있다. 라트비아의 지난해 여름 이후 계속된 환율 방어 노력으로 외환보유액이 25%나 감소하는 등 발트 3국이 1991년 소련에서 독립한 이후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고 <블룸버그 뉴스>가 23일 전했다. 라트비아는 지난해 11주 동안 12억6천만달러(약 1조8천억원)를 썼다가, 결국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96억달러의 구제금융을 받는 처지가 됐다. 리투아니아의 외환보유액도 지난해 8월 이후 3.2%가 줄었고, 에스토니아 역시 34억달러(5%) 줄었다. 금융시장에선 옛 소련권 국가 한곳 이상이 디폴트(채무 불이행) 위기에 처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
|
|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와의 비교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