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한 구조조정에 차질 우려
제너럴모터스(GM)의 개인 채권단과 노조 일부가 미국 정부가 GM의 파산절차를 자신들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밀어붙이고 있다며 새롭게 탄생할 회사에 현 GM의 자산을 매각하는 방안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소비자단체와 지방정부들에 이은 일부 채권단의 파산보호절차에 대한 이의제기는 앞으로 GM의 신속한 구조조정 계획에 상당한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주로 개인들로 구성된 GM의 한 채권단 모임은 19일 GM의 다른 주주들에 비해 자신들이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다며 새 GM 지분의 10% 이상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주장했다. 현 GM 회생계획에 따르면 새 GM의 지분은 채권단 10%를 비롯해 미국 정부가 60%, 캐나다 정부가 12.5%, 전미자동차노조(UAW)의 퇴직자 건강보험기금이 17.5%를 각각 보유하게 된다. 채권단은 GM과 미국 정부가 채권자들의 희생을 대가로 파산절차를 부당한 방향으로 밀어붙이면서 새 회사의 자산을 소수의 선택받은 계층에만 나눠주려고 한다고 비난했다. 채권단은 GM의 개인 채권자 1천500명을 대표하고 있으며 이들이 보유한 채권은 총 4억 달러에 이른다. 이들은 또한 파산법원에 대형 은행 및 기관투자자와 분리해 자신들이 GM과 독립적으로 협상할 수 있도록 허가해달라고 요구했다. 뉴욕 파산법원은 채권단의 이러한 요구에 대한 법정 의견청취 절차를 오는 23일 진행할 방침이다. GM의 레니 라시드-메렘 대변인은 회사는 방침상 파산법원이 결정할 사안에 대해 논평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의견 표명을 거부했다.한편 휴렛패커드(HP)와 AT&T의 자동차 관련 산업에 속하지 않는 대기업들과 광고회사 등은 총 2억5천만 달러에 달하는 GM에 대한 채권을 쉽게 상환받지는 못할 것으로 CNN 머니가 전망했다. 자동차 부품을 공급하는 납품업체들은 GM의 채무 상환 우선순위 리스트에 올라 있지만, GM은 HP와 AT&T 등 대기업에는 파산법원의 사전 승인 없이는 채무를 상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들 회사는 아직 GM 측으로부터 채무 상환 시기를 약속을 받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뉴욕의 파산 전문 로펌 스미스 갬브렐&러셀의 하이디 소비노 변호사는 "이는 사람들이 보통 실감하는 것보다 자동차산업 외에 다른 여타 산업에 훨씬 더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뉴욕 AP=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