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5.07.14 03:05
수정 : 2005.07.14 03:13
미국 공화당이 중앙정보국(CIA) 비밀요원 신분 누설 사건 즉 '리크게이트(LeakGate)'와 관련 조지 부시 대통령의 정치 고문 겸 비서실 차장인 칼 로브를 방어하기 위해 대대적인 반격에 나섰다고 워싱턴 포스트가 13일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공화당측은 로브가 기자와의 대화에서 CIA 비밀요원에 대해 언급했을 때 그는 부적절하거나 불법적인 어떤 말이나 행동도 하지 않았다면서 로브에 대한 적극적이고 조직적인 방어에 나섰다. 공화당측은 또 민주당 의원들이 로브의 사임을 주장하고 있는데 대해 민주당 의원들의 명성을 떨어뜨리고 로브의 범죄행위 가능성에 대한 주장을 일축하려 하고 있다.
공화당전국위원회(RNC)의 켄 멜먼 위원장은 "성난 좌익이 (로브를) 중상모략하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공화당측은 또 부시 대통령이 최근 사의를 표명한 샌드라 데이 오코너 대법관의 후임자를 지명하면 로브의 리크게이트 관련설은 저절로 사라지거나 묻혀버릴 것으로 예상했다.
공화당내에 배포되는 RNC의 기관지격인 'RNC 논점'에 따르면 최근 몇차례에 걸쳐 로브를 만나 얘기를 나눈 것으로 알려진 멜먼 위원장은 공화당 의원들이나 로비스트, 주 정부 관계자들에게 민주당의 더러운 정치를 비난하고 로브는 그저 기자에게 부정확한 기사를 쓰지 못하도록 경고했을 뿐이라고 주장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나 로브의 지지자들조차도 이 문제가 폭발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음을 인정했다. 백악관과 유대관계를 갖고 있는 보수적인 정치 평론가인 윌리엄 크리스톨은 이 사건 수사를 맡은 패트릭 핏제럴드 특별검사가 한 기자를 감옥으로 보내면서 언론의 헌법적 권리에 도전했는데 정작 그가 아무도 기소하지 않는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크리스톨은 핏제럴드 검사가 "백악관에 문제이며, 우리는 그가 무엇을 알고 있는 지 모른다"고 말했다.
이 사건은 조셉 윌슨 전 대사가 뉴욕 타임스에 조지 부시 대통령의 이라크 침공 논리를 비난하는 글을 게재함으로써 시작됐다. 그는 2002년2월 아프리카의 니제르를 방문해 이라크가 우라늄을 구입하려 하고 있다는 정보를 조사하고 돌아온 뒤 부시 대통령이 사담 후세인 당시 이라크 대통령의 위협을 과장하고 있다고 비난하는 글을 뉴욕타임스에 게재했다.
이후 워싱턴 포스트의 보수적인 신디케이트 칼럼니스트인 로버트 노박은 자신의 칼럼에서 고위 행정부 관리 두 명의 말을 인용해 윌슨의 부인은 CIA 비밀요원인 발레리 플레임이라고 폭로했다. CIA 비밀요원의 신분을 폭로하는 것은 연방범죄에 해당한다.
윌슨은 행정부 관리들이 자신의 부시 행정부 비난에 대한 보복으로 부인의 신분을 폭로했다고 비난했다. 이후 연방정부는 특별검사를 임명해 이 사건 수사를 시작했다.
시사주간 타임의 e-메일에 따르면 로브는 노박의 칼럼이 나오기 전에 타임지의 매튜 쿠퍼 기자와 만나 윌슨의 신뢰도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같은 e-메일 내용은 역시 노박의 칼럼이 나오기 전에 워싱턴 포스트 기자가 고위 행정부 관리와 만났을 때 이 관리가 윌슨의 니제르 방문을 쓸데없는 일이며 그의 부인이 CIA를 통해 만든 일이고 백악관은 윌슨의 여행을 대단치 않게 생각하고 있다는 요지의 말을 한 것과 일치한다.
로브는 자신이 플레임의 이름도 모르고 그것을 누구에게도 누설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윌슨은 로브가 부시의 이라크 침공 정당화 논리를 약화시키는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명예를 실추시키기 위한 "비방 캠페인"의 일부라고 주장했다. 윌슨은 로브가 자신의 부인의 신분을 모른다고 말한데 대해 그가 자신의 가족과 같은 교회를 다닌다고 지적했다. (워싱턴=연합뉴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