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8.01 08:56 수정 : 2005.08.01 08:57

도널드 럼즈펠드 미국 국방장관은 현재 13만8천명 선인 이라크 주둔 미군을 내년말까지 최대 10만명 가까이 감축한다는 계획을 마련했다고 시사주간지 뉴스위크 최신호(8월8일자)가 보도했다.

뉴스위크는 정통한 국방부 소식통 2명의 말을 인용해 국방부가 최근 수개월 사이에 입안한 세부적인 계획은 내년 중반까지 이라크 주둔 미군을 8만명 선으로 줄인 뒤 내년말까지는 4만-6만명으로 조정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같은 계획은 이라크 수도 바그다드를 미군이 점령한 후 2003년까지 완료할 방침이었으나 저항세력과의 전투 장기화로 달성하지 못한 이라크 주둔 미군의 감축계획과 같으며 지난달 언론에 흘러나온 영국의 비밀 문건에서 제시된 내용과도 일치한다고 뉴스위크는 지적했다.

당시 영국 국방부의 비밀 문건은 "미국의 새 계획은 이라크의 18개 주 가운데 14개 주의 통제권을 2006년 초까지 이라크 정부에 넘기고 미국과 연합군의 병력은 17만6천명에서 6만6천명 선으로 감축한다는 내용"이라고 밝혔었다.

이라크 주둔 미군 사령관인 조지 케이시 장군도 이라크가 12월5일 총선 등 임시 헌법에 제시된 정치 일정을 준수한다면 "미국은 상당한 규모의 병력을 감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미국은 저항세력에게 용기를 고취하는 역효과 등을 우려해 이라크 주둔 미군의 철군 일정에 대해 침묵해 왔으나 미국 행정부는 이제 이라크 저항세력은 이라크 신정부의 성공이라는 정치적 수단을 통해서만 퇴치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갖게 됐다고 뉴스위크는 지적했다.

이에 따라 저항세력의 퇴치는 더이상 미군 철수의 전제조건이 아니라고 뉴스위크는 전했다.

뉴스위크는 미국 정부가 새 정부의 통합을 위해 이라크 정치인들이 타협할 자세가 돼 있지 않다는 사실을 저항세력보다 더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방부 전쟁계획 입안자들은 미군이 이라크에 영원히 주둔하지 않을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어하며 행정부도 점점 강화되고 있는 철군 압력에 조기대응하기를 원하고 있다고 철군계획 마련의 배경을 설명했다.

뉴스위크는 전쟁 계획 입안자들은 또한 현재 규모의 병력배치가 2007년까지 연장된다면 병력 충원에 엄청난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문제는 저항세력이 미군의 이와 같은 계획을 황급한 발빼기 수순으로 볼 가능성이 있으며 미군의 철수로 인한 공백을 틈타 저항세력이 세력을 확대하면 내전으로 비화할 수도 있다는 점이라고 뉴스위크는 분석했다.

http://blog.yonhapnews.co.kr/choow/

(뉴욕=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