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9.02 22:06 수정 : 2005.09.02 22:11

“연방정부 뭐하나” 이재민 늑장지원 분통


허리케인 카트리나 피해 규모가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미국 당국의 늑장 대처와 빗나간 수해대책 등에 대한 거센 비판이 일고 있다.

연방정부에 분노 폭발=루이지애나주와 뉴올리언스시 간부들은 연방정부의 지원이 너무 늦다고 비난하고 있다. 또 이재민들도 “지진해일 피해지역에 막대한 지원을 제공했던 정부가 어떻게 한 나라 안에 이렇게 지원을 하지 않을 수 있느냐”고 비난했다. 빌럭시의 한 이재민은 정부가 물과 음식 등 1700트럭분을 수해지역에 보냈다고 하는데 도대체 그런 것을 본 적도 없다고 늑장 지원에 분통을 터뜨렸다. 빌럭시 소방서의 조 보니는 “지원이 곧 이뤄질 것이라는 말은 많은데 우리는 어떤 지원도 아직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나이트리더>는 현장 취재기자의 말을 따 수해현장에서 인명구조팀말고는 연방정부의 구호팀을 거의 보지 못했다고 전했다.

분노에 찬 시민들이 “도와달라”는 구호를 외치거나 경찰·행정관리들에게 공격을 가하는 사례도 나타난다. 해안경비대 부책임자 체리 벤 이전은 <에이피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사람들이 헬기나 경찰만 보면 무조건 총격을 가한다는 보도가 있다”고 말했다.

<뉴욕타임스>는 ‘인재’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루이지애나와 미시시피 주방위군의 3분의 1 이상이 현재 이라크에 파견돼 있다”며 “허리케인이 오기 전에 주방위군들이 동원됐더라면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르진 않았을 것”이라고 조지 부시 행정부를 비판했다. 뉴올리언스 안전책임자인 테리 에버트는 “연방정부의 재난관리국(FEMA)은 허리케인을 한번도 다뤄보지 않은 것 같다”고 비난했다.

빗나간 수해대책=뉴올리언스의 경우 해수면보다 낮은 지형의 특성상 이미 ‘대형 수해’ 가능성이 지적되면서 철저한 대책마련이 요구돼 왔으나, 오히려 관련 예산이 삭감된 것으로 드러났다.

뉴올리언스는 2002년 공공기금으로 수행된 연구조사 결과 이번에 이 지역을 강타한 4등급 허리케인보다 약한 3등급 허리케인에도 물난리를 겪게 될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미국 정부는 남동부 루이지애나의 홍수통제를 위한 연방 예산을 2002년 6900만 달러에서 2005년 3650만 달러로 삭감했다. 또 폰차트레인 호수를 허리케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공병대에 배정된 예산도 2002년 1425만 달러에서 올해 570만 달러로 대폭 줄였다. 이는 연방정부가 이라크 전쟁 비용을 감당하기 위해 자연재해 대비 예산을 줄였기 때문이라고 <월스트리트 저널>이 보도했다.

예산삭감은 심각한 결과를 초래했다. 지난해 37년 만에 처음으로 뉴올리언스 주변 폰차트레인 호수의 제방 시스템에 대한 대규모 보강공사가 시행되지 못했다. 지난 6월에는 미 공병대의 5등급 허리케인 대비방안 연구계획도 중단됐다. 수해 예방 훈련도 대폭 줄었다.


워싱턴/박찬수 특파원, 박병수 기자 suh@hani.co.kr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