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5.09.04 17:18
수정 : 2005.09.04 17:18
적극 지원의사 불구...현실성 의문
정부가 허리케인 `카트리나'로 큰 피해를 입은 미국에 대해 적극적 지원을 검토 중인 가운데 군 차원의 지원 여부 및 그 내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방부는 인도주의는 물론, 한미동맹 차원에서라도 미측의 요청이 있고 정부 차원의 정책이 결정되면 병력과 장비 등 적극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군이 구호물자 지원은 물론, 파병과 장비 지원을 통해 미국을 지원하게 될 경우 이는 미국에 실질적인 도움과 함께 한미동맹 차원에서 매우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다.
우리 군이 자연재해로 인한 지원을 위해 해외로 나간 경우는 올해 초 남아시아 일대에 발생한 쓰나미(지진해일)에 대한 지원이 처음이었다.
그러나 우리 군 병력이 베트남전, 동티모르, 이라크 등 다양한 해외 파병 경험이 있지만 재해 지원을 위해 해외로 파견된 전례는 사실상 없었다.
군은 쓰나미 피해 당시 4천300t급(만재톤수 기준) 해군 상륙함(LST) 비로봉함에 굴삭기 등 각종 복구장비와 구호물자를 싣고 출항, 스리랑카 콜롬보항 등을 통해 전달한 바 있을 뿐이다.
국방부는 미국의 `카트리나' 피해에 대해서도 정부의 결정이 내려지면 상륙함정은 물론, 병력과 장비 지원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국방부는 그러나 `혈맹'인 미국을 당연히 도와야 하지만 군 차원에서 미국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이 현실적으로 쓰나미 지원의 경우보다 더 제한돼 있다는 점에 고심하고 있다.
미국이 미 본토에 외국군의 파병을 허용한 적이 한 번도 없는데다 동남아 국가와는 달리 세계 최강국인 미국이 복구장비를 필요로 할 지도 의문이기 때문이다.
또 쓰나미 지원때는 해군 상륙함이 각종 구호장비 및 물자를 싣고 수 개월간의 항해를 통해 지원을 했지만 미국은 거리가 훨씬 더 떨어져 함정을 통한 지원의 현실성도 장담할 수가 없다.
국방부 고위 관계자는 4일 "정부가 지원책을 마련 중이지만 국방부 차원에서 무엇을 지원해줄 수 있을지 고민"이라며 "오늘 정부 관계부처 회의에서 국방부는 지원책을 내놓기 보다 주로 듣는 입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국방부 관계자도 "복구장비나 의료인력 등의 지원은 모르겠지만 병력파병은 미측이 원하지 않으면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며 "다른 관계 부처와는 달리 군 차원의 지원은 제한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