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동영 특파원 ydy@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
라이스 “해체와 검증 로드맵 만들어야” |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은 19일(현지시간) 북미관계 정상화 전망에 대해 이번 공동성명은 "6자회담 합의로, 북한과 나머지 이웃 5개국과 합의이지, 북한과 미국간 (양자) 합의는 아니다"며 "한반도 비핵화에 실제로 진전이 있으면 북한과 모든 이웃나라들간 관계개선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라이스 장관은 이날 뉴욕 유엔본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모든 핵 해체 이행과 그에 대한 검증을 강조하면서 이같이 말해 북미관계 정상화는 북한의 핵포기 실행에 달렸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라이스 장관은 또 북한의 경수로 문제에 대해서도 "북한의 평화적 핵이용은 현존하지 않고 멀리 있는 문제"라며 "공동성명에서 합의된 것은 적절한 시점에 경수로 문제를 논의, 다시 말해 논의할 준비가 돼 있다는 것"이라고 강조, "미래 문제"임을 분명히 했다.
그는 '적절한 시점'에 대해서도 핵 해체, 핵무기확산금지조약(NPT) 복귀, 국제원자력기구(IAEA) 안전조치 이행 등이 우선 이뤄진 후라는 미 정부 입장을 거듭 강조하고 "경수로 문제 논의 순서가 이같이 돼 있다는 것은 다른 많은 나라들도 분명히 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공동성명에서 한 일은 북한의 평화적 핵이용권 주장에 유의한다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북한의 합의 배경에 대한 질문에 라이스 장관은 "북한의 심리까지 알 수는 없다"고 말하고 "그러나 북핵 문제가 북미간 문제가 아니라 중국, 일본, 한국, 러시아도 관심과 이해가 걸린 문제라는 게 핵심이라는 믿음에서 그러한 구조를 통해 북한으로부터 (핵포기에 관한) 포괄적인 약속을 받아냈을 뿐 아니라 다른 모든 나라에 대해서도 약속하게 한 것이라는 것은 분명히 말할 수 있다"고 6자회담 틀의 유용성을 강조했다.
라이스 장관은 앞으로 6자회담의 논의 내용에 대해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과 다른 핵프로그램의 해체의 검증이라는 아주 어려운 문제"를 다룰 것이라며, "우리는 모든 각 단계에서 검증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매우 또렷한 검증 로드맵"과 "매우 또렷한 해체 로드맵"을 가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동영 특파원 ydy@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윤동영 특파원 ydy@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