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9.25 09:33 수정 : 2005.09.25 17:33

“카트리나·리타 피해는 환경정책 탓”

미국 멕시캡 일대가 카트리나와 리타 등 허리케인에 잇따라 강타당해 큰 피해를 입으면서 지구촌의 지구온난화 방지노력을 회피하고 있는 조지 부시 미 행정부의 환경정책이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영국과 독일 등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교토의정서 비준 국가들은 미국이 초대형 허리케인에 의한 피해를 근본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구환경 보호를 위한 교토의정서에 즉각 가입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24일(현지시간) 미국의 한 도시가 카트리나에 침수된뒤 한달도 지나지 않아 리타가 또 엄습함으로써 지구 온난화가 허리케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쟁이 타오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산화탄소와 온실가스의 방출로 인한 전반적인 기후의 온난화 이외에 다른 것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방식으로 열대지방의 대양이 뜨거워졌다는데 대양과 기후 전문가들이 동의하고 있다는 것.

특히 많은 기후 과학자들과 해양학자들은 뜨거워진 대양이 허리케인의 빈도는 몰라도, 허리케인의 강도와 강우량을 증가시킨다고 여기는 것도 명백하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실제로 최근 서로 다른 과학자들에 의해 행해진 허리케인에 대한 두가지의 연구는 지난 수십년간 전세계 허리케인의 강도가 크게 증가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고 이 신문은 덧붙였다.

앞서 영국의 정부자문기구인 왕립환경공해위원회의 존 로턴 위원장은 23일 초대형 허리케인으로 발달하는 열대성 폭풍의 수가 증가한 것은 지구온난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면서 지구 기후변화에 대한 미 관계자들의 소극적인 태도를 비판했다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에 따르면 로턴 위원장은 리타가 미국을 강타하고 있는데 대해 "미국에서 기후와 관련한 '얼간이'들이 지구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면 정말 끔찍한 상황 속에서 그나마 좋은 일이 생기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독일 뮌헨에서 발행되는 쥐트도이치차이퉁도 지난 1일자 사설에서 "카트리나급의 무시무시 한 허리케인이 몇차례 닥쳐야 미국 정부는 그 끔찍한 환경정책을 바꾸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독일의 위르겐 트리틴 환경장관도 미국이 카트리나로 엄청난 피해를 입은 것은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알려진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 며 미 행정부가 교토의정서 비준을 거부한데 대해 비판했다.

이에 대해 미 행정부측은 그동안 지구온난화가 허리케인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지는 분명치 않다는 입장을 보여왔다.

또 지구온난화가 허리케인의 발생 빈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 여부에 대해서도 아직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1997년 12월 일본 교토에서 채택된 교토의정서는 선진국들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규정하고 있으나, 전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28%를 차지하고 있는 미국은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교토의정서 비준을 거부하고 있다.

이래운 특파원 lrw@yna.co.kr (뉴욕=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