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북설 부인안해…북핵 검증절차에 관심
“정밀 사찰보다 북 스스로 투명성 보여야”
크리스토퍼 힐 미국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26일(현지시간) "(11월로 예정된) 북핵 5차 6자회담을 앞두고 북한과 직접 협상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6자회담 미국측 수석대표인 힐 차관보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나는 모든 협상 당사국들과 만나길 바라며 오는 11월 6자회담 협상당사국들이 모두 만나기 전에 북한과 만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현지 언론들은 이와 관련, 북한측의 핵무기 프로그램 해체 약속 이행을 보장하기 위해 힐 차관보가 북한을 방문할 수도 있다는 내외신 보도를 부인하지 않은 것이라고 해석했다.
힐 차관보는 그러나 "아직까지는 아무런 방북계획을 갖고 있지 않다"면서 "다만 앞으로 수주동안 협상 당사국들과 진지하게 논의해 볼 생각이며 여기에는 북한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을 방문하게 될 경우 북한측과 나눌 대화 내용에 대한 질문을 받고 그는 "6자회담 모든 당사국들이 북한측의 핵 해체 약속 이행을 보장하기 위한 검증절차에 관해 심각하게 협의해야 할 것"이라며 구체적인 언급을 회피했다.
그는 또 "미국은 사찰단이 지루한 핵 찾기에 나서기 보다는 북한 스스로가 핵무기 프로그램에 관해 투명성을 가져 주었으면 좋겠다"면서 "북한 영토 전역에서 마치 부활절 달걀찾기 놀이처럼 곳곳을 뒤지는 것에는 전혀 관심이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한국 대표단이 곧 워싱턴을 방문할 계획임을 상기시키면서 "우리는 스스로 핵 프로그램을 폐기하겠다고 약속한 북한 당국과 협력하는데 관심이 있다"면서 "5차회담에 앞서 `심도있는 협의'를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힐 차관보는 북한이 약속을 준수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북한은 미국만 상대로 약속한게 아니라 모든 이웃국가들에게도 똑같은 약속을 했다"면서 "특히 중국이 이번 약속의 이행에 매우 관심이 높은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힐 차관보는 지난 6월 22일과 9월 12일 두 차례에 걸쳐 방북 의사를 표명한 것 외에도 우리 정부측에 수차례 방북 의사를 거론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힐 차관보는 24일 일본의 사설 민간네트워크 ANN과의 인터뷰에서도 "향후 몇몇 곳을 방문할 것이지만 어디로 갈 지는 결정하지 않았다"며 5차 6자회담 전 방북 가능성을 시사했다. 조복래 특파원 cbr@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